d라이브러리
"취득"(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화학 전도사에 뜻이 있었던 건 아니다. 여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화학 박사를 취득한 뒤 한국에너지연구소(현재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동국대 화학과로 옮겨 31년을 지냈다. “시작은 우연이었어요. 교수가 되고 연구를 하려 했지만 함께 연구할 대학원생이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연세대에서 물리학과 수리물리를 전공하고 미국 럿거스대에서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카네기멜론대, 벨 연구소,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를 거쳐 연세대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2013년부터는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답을 받고, 그 답을 다시 LLM을 사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발화 방식으로 구현한다. 즉, 정보 취득부터 발화 방식까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AI 에이전트인 것이다. 쉽게 따라잡을 수 없는 빅테크 기업의 기술력을 자원으로 삼고, 뤼튼테크놀로지스만의 새로운 기술을 더한 발상의 전환인 셈이다.2021년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물 안 개구리처럼 느껴졌어요. 언젠가는 창업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다시 임상 현장으로 돌아갔던 김 대표는 연구한 것을 암 치료에 활용하고자 혈액종양내과로 펠로우를 시작해, 분과전문의 자격증을 땄다. 그리고 2015년,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를 설립했다.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이라고 봅니다.*필자소개 채수연 충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환자 맞춤형 치료법과 전임상 모델의 개발 및 이 분야에서의 정량분석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2018010908@korea.ac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학위 과정만 있지만, 과기의전원이 설립되면 KAIST에서 의학사(M.D)와 박사학위(PhD) 동시 취득이 가능해진다. 과기의전원은 현행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8조 3항에 따라 보건복지부가 의료인 수급을 확대하고 교육부가 이를 반영해 의전원 신설을 허가하면 설립할 수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건 ... ...
- [이달의 과학사] 현대판 복사기 특허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1942년 10월 6일, 칼슨은 ‘전자 사진’이라는 이름으로 복사에 대한 특허를 취득합니다. 이후 칼슨은 사진용품 업체인 할로이드와 계약을 맺어 ‘제록스 914’라는 기계를 만들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복사기는 무게가 300kg에 달하는 데다 값이 비싸 거의 팔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버튼을 한 번만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만한 게, 태호는 모두가 다 알아주는 속도광이었다. 그는 만 18세가 되자마자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곧바로 차를 샀다. 밤마다 미친듯이 자유로를 달렸다. 기존 차량의 성능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게 되자, 스스로 차를 튜닝하면서 자동차의 구조와 설계를 공부했다. 그러다 보니까 최대출력이 200마력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김형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년 강원대에서 신소재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4년부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으로, 금속 적층성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hgk@kitech.re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전공 교수.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2011년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같은 대학교와 미국 오리건대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6년부터 경북대에서 재직 중이다. 전기화학 기반의 다양한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재를 주로 연구했으며, 특히 활성화 탄소와 배터리 양극재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