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톨릭
가톨릭
가톨릭교
구교
캐돌릭
캐톨릭
성당
d라이브러리
"
천주교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지식을 접하면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됐다. 16세기 이후 중국에는 북경 등지에 머무르며
천주교
를 퍼뜨렸던 유럽 예수회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 과학지식이 유입됐다. 이들이 전해온 천문학 지식(천체 구조론)은 예수회의 종교적 입장과 대치했던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이 아니라 티코 ... ...
[기획]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 그의 업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멘델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 들어가 1847년 정식으로
천주교
수도사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멘델은 체코 올로모우츠팔라츠키대학교,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에서 철학과 물리학,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정원사로 일하기도 해서 육종 개발에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으로 편도 1시간이 걸리는 본가에서 통학하곤 했다. 또 다른 유학생 친구는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는데, 기독교 단체 ‘YMCA’에서 아주 저렴한 기숙사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고는(단, 기독교 학생만 받아줬다) 곧바로 기독교로 개종하고 기숙사에 들어갔다.일본은 지역마다 최저임금이 다르다.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8] 문화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기존 문화와 외래문화가 각각의 성격을 잃지 않고 함께 존재하는 양상이다. 우리 사회에
천주교
와 개신교, 불교 등이 종교 문화로 함께 존재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두 번째는 ‘문화 동화’로, 기존 문화가 외래문화에 흡수돼 정체성을 잃는 양상이다. 아메리카의 원주민 부족들이 유럽의 백인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신봉하는 저널리스트로서 잠시 명성을 떨쳤다.개인사는 불행했다. 아내 줄리아는 독실한
천주교
인이었다. 신의 존재를 입증하는 합리적인 논거는 어디에도 없음을 일찍이 깨우친 전투적인 무신론자 프라이스는 아내와 사사건건 부딪쳤다. 결국 결혼한 지 8년 만에 파경을 맞았다. 두 딸을 맡은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서 사실상 절멸했다. 19세기 후반 샤를 달레 신부는 ‘한국
천주교
회사’에서 “(한반도) 북쪽의 두 도를 빼놓고는 거의 어디나 산이 일궈져서 호랑이는 제 굴에서 쫓겨나 그 수가 훨씬 적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개항 이후 조선을 찾은 많은 외국인들은 조선의 호랑이를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소속)“사후피임약은 살아있는 배아를 죽이는 낙태약이에요! ”(강인숙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생명운동본부 위원)“사전피임약도 지난 50년간 사용하면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립됐습니다. 최근에는 에스트로겐의 양도 적어 안전하고요. 일반의약품으로 유지해야 합니다.”(김대업 대한약사회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제 방향은 급격히 ‘타협과 공존’으로 흐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천주교
가 이미 창조와 진화에 신의 섭리가 개입했다는 전제로 ‘유신론적 진화론’을 받아들였다는 평가가 많다. 1996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종교교육과 진화론 사이에는 아무런 대립도 없고 진화론은 가설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중국에 덜시머를 전한 이는 바로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였던 마테오 리치였다. 그는
천주교
를 전파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1601년경 덜시머를 가져갔고, 중국인들은 이 악기를 양금(洋琴 또는 揚琴)이라 불렀다. 양금은 언제 우리나라에 전해졌을까. 조선 실학자들은 발달된 문물을 접하기 위해 ... ...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배아줄기세포 연구 여부를 논의해도 늦지 않다는 것이 생명윤리계의 주장이다.현재
천주교
주교회는 ‘배아도 태아도 인간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생명수호엽서’ 20만부를 정부에 보내는 운동을 진행하며 대대적인 탄원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이번 결정에 대해 학계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