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목
선정
약속
지시
예정
예약
표시
d라이브러리
"
지정
"(으)로 총 1,30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볼 수 있는 텃새였지만, 이후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
됐습니다. 지금은 전남 구례군, 경기 연천군 등 4곳에서 200여 마리만 살고 있어요. 낭비둘기의 개체 수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집비둘기와의 잡종화로 추정됩니다. 가까운 도시의 집비둘기가 낭비둘기의 ... ...
[특집] 비둘기 먹이주기 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판단한 야생동물을 말해요. 2009년 환경부는 도심에 사는 집비둘기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
했어요.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경엽 사무관은 “일부 지역에 집비둘기가 너무 많아 털을 날려 사람에게 불편함을 주고, 배설물이 쌓이면 건물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국 도심에 ... ...
[이달의 과학사] 미국에서 첫 식목일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베면서 많은 숲이 파괴되고 있었지요. 모튼은 네브래스카주 농무부에 나무 심는 날을
지정
하자고 제안했어요. 그리고 1872년 4월 10일, 모튼이 제1회 식목 행사를 열면서 처음으로 식목일이 탄생했지요. 이날 네브래스카주에는 100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심어졌습니다. 이후 1885년 네브래스카주에서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단층 / 유해야생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인한 농가의 피해가 극심하자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약 7년 동안 노루를 유 해야생동물로
지정
했어요. 그 사이에 7000마리가 넘는 노루가 잡혔고, 1만 3000여 마리였던 노루 수는 2022년 4300여 마리로 뚝 줄었죠. 환경부는 노루를 유해야생동물에서 제외하고 이제는 다시 노루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 ... ...
[도시공해] 도심의 생태계 괴롭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WHO)는 2007년부터 도시의 강한 인공조명으로 발생하는 빛 공해를 발암물질로
지정
하고 있죠. 빛 공해는 동식물의 삶도 위협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스웨덴 예블레대학교 안니카 예예르브란드 교수팀은 달빛과 별빛으로 방향을 구분하는 철새가 강한 인공조명 때문에 잘못된 방향으로 비행하며 건물과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싶어졌다. 그럼 그 영역을 바로 지우지 않고 ‘지우고 새로 그림을 그려도 될 영역’으로
지정
해 둔다. 실제로 그 영역을 지우고 새로 그림을 그리기 전까지는 해당 영역에 그림이 아직 남아있다. 마찬가지다. 데이터를 삭제한다는 건 전체 저장공간에서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을 ‘지우고 새로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어떨까요? IARC의 2B군
지정
소식에 뉴스와 신문은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지정
됐다”고 보도했죠. 뭔가 이상함을 눈치 채셨나요? 맞습니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입니다. 아직 발암 기작과의 완전한 인과 관계가 설명되지 않아 추가적인 입증이 필요한 단계라는 뜻이죠. 그런데도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리만 가설은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가 100만 달러(약 13억 1870만 원)의 상금을 걸고
지정
한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다. 독일 수학자인 다비트 힐베르트는 ‘1000년 뒤에 내가 다시 살아난다면 가장 먼저 리만 가설이 증명됐는지 물어볼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리만 가설이 수학계에서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꿀 등을 담는 생활 용기였다는 점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이후 매병 2점과 죽찰은 보물로
지정
됐습니다. 고고학자로서 기존의 역사에 새로운 사실을 추가했다는 점이 뿌듯했죠. Q. 난파선을 그토록 찾아다니는 이유가 뭔가? 난파선은 배가 가라앉은 순간 그대로를 보여주는 타임캡슐이나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다닐 수 있는 보행자의 지위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단,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지정
한 16가지 항목의 운행안전인증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운행안전인증 시험은 실외 이동로봇이 사람과 함께 안전하게 도보를 걷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입니다. 한 예로 16가지 항목 중에는 횡단보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