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선"(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024년 중으로 시작할 전망이다. 실험은 주변 환경에서 오는 잡음을 최소화하고자 강원도 정선 예미산 지하 1000m에 마련된 고심도 지하실험실, ‘예미랩’에서 진행된다. 소 책임기술원은 “이중 베타 붕괴 현상이 벌어질 때 반 중성미자 두 개와 전자 두 개가 생성된다”면서 “그런데 만약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한파가 몰아쳤던 1월 24일, 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예미랩 지상 오피스. 이곳에 맹추위도 막지 못한, 열정 넘치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청량리에서 기차로 2시간 30분이나 걸리는 먼 장소였지만, 10명의 독자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집합 시간보다도 훨씬 일찍 도착해 기다리고 있었다.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만난 김영덕 지하실험 연구단 단장은 ‘본질’이라는 단어를 여러 번 강조했다. 강원도 정선군 지하 1000m에 지어진 거대한 실험실 ‘예미랩’을 가장 중요하게 언급할 것이라는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김 단장은 “아직 인류가 완벽히 파악하지 못한 중성미자와 암흑물질을 연구하는 방법 중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우주의학 전문 스타트업인 ‘스페이스 린텍’은 기초과학연구원이 강원도 정선군에 구축한 지하 실험실, 예미랩의 600m 수직갱도를 미세중력 실험장으로 활용 중이다. 이곳에 드롭타워를 설치하고, 직접 개발한 미세중력 구현 방식을 이용해 세포나 생체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는 미세중력 환경을 ... ...
- [숫자 뉴스] 지하 1000m 땅속에서 우주의 비밀을 찾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강원도 정선군 예미산 꼭대기로부터 1000m 아래에 거대한 실험실이 지어졌어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초과학연구원이 지은 ‘예미랩’이에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의 높이가 555m인데, 이를 2개 쌓아둔 것과 비슷한 깊이에 예미랩이 생긴 것이지요. 약 3000m2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탐구하기 위해 문을 연 지하실험실, 예미랩에 다녀왔다. 9월 29일 오전, 강원도 정선 예미산으로 향했다. 가을 하늘이 쾌청한 날이었다. 바람에 휘날리는 들꽃을 보니 이 땅 아래 1000m로 내려갈 거란 사실이 더욱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예미산을 찾은 건 고심도 지하실험시설 ‘예미랩’에 가기 ... ...
- [특집] 수천 미터 지하에서 우주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실험실 ‘예미랩’이 10월 문을 열었다. 강원도 정선 예미산 지하 1000m에 자리 잡은 이 실험실의 목표는 아이러니하게도 우주 속 미지의 입자, 암흑물질과 중성미자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다. 우주의 비밀에 닿기 위해 수천 m 땅 아래 어둠을 파고든 과학자들을 만났다. 과학자들은 ... ...
- [파고캐고 지질학자]강 따라 흐른 용암의 흔적을 찾아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곳이 고석정에서 30분 떨어진 경기도 포천시의 화적연입니다. 조선 시대의 화가인 겸재 정선은 이 화적연을 멋진 그림으로 남기기도 했지요. 멍우리 협곡과 비둘기낭폭포에서 주상절리 찾기! 한탄강 일대를 덮은 용암은 언제, 어디서 온 것일까요? 약 50만 년 전으로 추측되는 신생대 제4기,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결과를 위해서는 더 깊은 지하로 내려가야 한다. 이 부단장은 “올해 9월부터는 강원도 정선의 새로운 지하실험실 예미랩(Yemilab)에서 훨씬 더 큰 규모의 실험을 더 낮은 배경 방사능 아래서 진행할 것”이라며 “지하 1000m, 실험공간만 2000m2인 이 공간에서 윔프와 중성미자를 연구할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비슷한 11개 집단으로 분류했어요. 그 결과, 가장 남쪽인 전라남도 광양에서 강원도 평창, 정선 등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최근 진화한 개체였습니다.이는 약 258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동물들이 비교적 따뜻한 남쪽 지역으로 피난 갔다가, 빙하기가 끝나감에 따라 다시 북쪽으로 올라간다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