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푼
숟가락
숫가락
d라이브러리
"
숟갈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떻게 해야 할까. 연구팀이 낸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커피 콩을 갈기 전에 물을 한
숟갈
넣는 것. 커피 콩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마찰전기가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02 화학공학자는 커피 속에서 공장을 본다 “유동층이 뭔지 모르겠다고요? 커피 내려 본 적 있죠?” 화학공학을 전공한 기자가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2호
생긴 말불버섯류, 산호초처럼 생긴 싸리버섯류, 심지어 다 타버린 성냥개비 같은 마귀
숟갈
버섯류도 있답니다.버섯의 매력은 겉모습만이 아닙니다. 마치 꽃처럼 버섯도 제각각 독특한 향기를 갖고 있답니다. 특별한 향기가 나지 않는 야생버섯들도 기본적으로 밀가루에 락스를 살짝 섞은 듯 화한 ... ...
[섭섭박사 실험실] 과즙이 팡팡! 열대과일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젤라틴 4장을 찬물에 10분 정도 불린 뒤 물기를 짜낸다. ➋ 따뜻한 물 한 컵에 설탕을 3
숟갈
넣은 뒤 젤라틴과 섞는다. ➌ 파인애플을 적당한 크기로 썰고, 이 중 반을 덜어 끓는 물에 넣고 10분 정도 가열한다. ➍ 가열한 파인애플과 생 파인애플을 각각 투명한 그릇에 나눠 담는다.➎ 파인애플을 ... ...
[퍼즐탐정 썰렁홈즈 4] 떡국 끓이기 명인 떠꾸기 뿌러부러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요리 실력을 발휘했다. 잠시 후, 다무러는 설레는 마음으로 썰렁홈즈가 만든 떡국 한
숟갈
을 떠먹었는데…, 이후 한 시간 동안 의식을 잃었다. 너무 맛이 없었기 때문이다. “안 되겠어…. ‘떠꾸기 뿌러부러쓰’ 선생님을 찾아가 최고의 떡국 비결을 배우고 와야지… ... ...
[Culture] 과일잼&미역잼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눌어붙지 않도록 계속해서 저어줍니다. 오랫동안 졸였더니 끈적끈적하게 변했습니다. 한
숟갈
떠서 그대로 한 방울 떨어뜨려보세요. 표면에 방울이 잘 퍼지지 않는다면 드디어 잼이 완성된 것입니다. 희귀한 토마토잼은 인기 만점입니다. 토마토 특유의 감칠맛과 달달한 맛이 한데 어우러지니 정말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연한 부위를 좋아한다. 사람의 몸에서 가장 연한 부위는 눈. 한 시체는 아이스크림
숟갈
로 떠낸 것처럼 눈 주위가 동그랗게 파여 있었다. 불가사리나 고둥이 붙어서 빨아먹은 흔적이다. 멀리서 보면 선글라스를 쓰고 있는 듯했다. 따개비가 잔뜩 붙어있는 시체도 있었다.표류시체는 모래톱에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본래 맛이 더 부각되는 현상이다. 분식집에서 라면을 끓일 때 설탕을 찻숟가락으로 한
숟갈
정도 넣는 것도 같은 원리다. 단, 지나치게 많이 바르면 과일의 단 맛이 오히려 소금의 짠 맛을 부각시킬 수 있어 양 조절이 관건이다.소금 양을 조절하는 것이 자신이 없다면 과일 온도만 조절해 더 맛있게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백색왜성이 된다. 태양이 지구보다 작은 백색왜성이 되는 마지막 단계에서는 한
숟갈
의 무게가 5.5t이나 되는 엄청난 밀도를 갖는다. 태양은 1백30억살이 되면 빛을 완전히 잃고 흑색왜성이 돼 차갑게 죽어갈 것이다.대낮에도 빛나는 별 초신성은하를 이루는 별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밝은 빛을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큰 구슬이 떨어진다. 그 것은 굴러서 자리 아래에 매달아 놓은 짧은 통으로 굴러 들어가
숟갈
기구를 움직여 기계장치의 한 끝이 통안으로부터 올라가 시를 맡은 신의 팔뚝을 건드리면 종이 울린다.물론 이 번역문으로는 막연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옛 사람들은 이 글로 전부 이해가된 모양이다. ... ...
수험생의 간식, 무엇이 좋은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흐를 정도인 것이 좋다. 너무 진하면 오히려 맛을 감한다. 그리고 한번에 먹는 양도 큰
숟갈
로 4~5개 정도가 알맞다.겨울-추위를 이기는 스태미너식약식 찹쌀을 쪄서 거기에 대추 밤 잣 등 고명을 박아 다시 찐 것이다. 그러나 요즘 시장에서 초코렛 물감을 들인 약식보다는 재래식의 것이라야 좋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