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꽃
화초
조화
플라워
d라이브러리
"
생화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예테보리대 생물학・환경과학과 교수팀은 인구가 줄면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의 재야
생화
가 이루어지는 등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 주장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생명윤리학자인 트래비스 리더도 기후변화를 멈추려면 출산율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80억’이라는 숫자가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는데요. 한 예로 마이클 에이슨바흐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생화
학부 교수팀의 정자 실험을 소개합니다.doi:10.1371/journal.pone.0041915에이슨바흐 교수팀은 긴 관에 정자를 넣고 한쪽 끝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다른 한쪽 끝은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한 후 정자들의 움직임을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밝힌 논문은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산자르는 성과를 인정받고 노스캐롤라이나대
생화
학 교수로 부임해 현재까지 해마다 수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필자가 산자르 교수의 연구실에서 수학하며 가장인상적이었던 것은 그의 성실한 연구 자세였다. 하루도 빠짐없이 연구에 매진하는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말한다. 이 관장이 대학에 들어갈 때는 생물학 그러면 미생물학이나 분자생물학,
생화
학, 유전학 같은 첨단 학문을 해야 했다. 정작 야외에 가서 동물이나 식물을 직접 볼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 직접 야외에 나갔던 분류학 전공자는 지금 보니까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는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NER의 과정을 밝혔다. 올해 초에는 ‘유럽연합
생화
학지’(FEBS)와 ‘광화학과 광생물학지’에 NER을 총괄적으로 정리하는 초청논문을 싣기도 했다.하지만 그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NER 과정에 참여하는 단백질 중 아직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
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상품화해 세계시장으로 진출 하기 위해서 상당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야
생화
의 개발은 원래 20-30년이 소요되는 시간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모든 것을 이룰 수는 없다. 오늘날의 팬지나 피튜니아도 2백년이라는 세월이 소요됐고, 야생 털개회나무로부터 미스킴 라일락이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DNA가 이중나선 모양을 하고 있음을 규명해 노벨상을 수상하기 3년 전인 1959년 국제
생화
학회를 창설했던 세계적 실력자인 오초아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이유는 DNA로부터 RNA를 합성하는 효소를 발견한 공로였다. 그러나 그의 연구결과도 옳은 것이 아니었다.실험실에서 연구하다 보면 ... ...
식물 고통 덜어주는 아스피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아스피린과 유사한 약물을 사용해서 완화시켜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생화
학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동물처럼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포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면 식물도 적절한 자기 방어를 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이 연구에는 미국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는 거미연구소(84년 9월 설립)에서 일하며 거미연구의 대를 잇고 있다. 학부때는
생화
학을 전공했지만 거미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전공을 바꿔 거미계통분류에 전력하고 있다.전씨가 사진을 찍기 시작한 것은 얼마되지 않았다. 무척추동물인 거미는 액침(알코올 이용)을 해 보관하는데,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륜을 어기거나 생물의 종(種)을 파괴하는 학문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1984년 6월 미국
생화
학회에서는 한 놀라운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었다. 이 자리에서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의 윌슨(Wilson)박사팀은 현재 절멸(絶滅)돼 지구에서 사라진 남아프리카 당나귀, 즉 구아가(Guagga)의 1백40년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