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 돌
sand
모래
d라이브러리
"
모래알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넘쳐 흐르는 바닷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7호
있는 해수욕장에 가 본 적 있나요? 푸른 바다와 반짝반짝 빛나는
모래알
이 아름다워 여름철 사람들이 많이 찾곤 하지요. 그런데 해수욕장이 바닷물로 가득 차 없어질 수도 있다는데요 동해안의 모래사장이 사라진다면 우리나라 동해안은 돌보다 모래가 많은 해안 지역입니다. 그런데 모래가 많으면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보인다. 이 꿀팁을 따라해봤더니찾았다! 쌍둥이자리 M35 산개 성단이다. 곱고 푸른
모래알
이 한 꼬집 뿌려진 듯한 모습이 아름답다. 밤 11시 ⏐ 추위와 피곤이 몰려오다. +4 hour봄철의 대표 별자리인 처녀자리가 떠오를 시간이다. 머리털자리와 처녀자리 사이의 은하단에는 거대 타원은하인 M87을 ... ...
공동연구 잘~하는 비결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오늘도 제가 열심히 연구하는 이유고요. ◦ 공동연구자가 보는 김재경"김재경 교수는
모래알
을 진주 목걸이로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_교대 근무자의 수면 연구를 함께한(주은연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2015년 한 수면학회에 강연자로 김 교수가 참석했을 때 처음 만났어요. 김 교수 덕분에 ... ...
첫 번째 질문 I 인류는 무한을 어떻게 떠올리게 됐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이 책을 썼는데요. 책에는 ‘우리가 사는 우주 전체를
모래알
로 채운다면 얼마나 많은
모래알
이 필요할까’라는 굉장히 재미있는 상상이 적혀 있어요. 그런 면에서 이 책이 인류가 무한을 다루기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아르키메데스의 라는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의미합니다. 유성을 만드는 이 우주 먼지를 유성체라 부르는데 크기가 천차만별입니다.
모래알
정도의 크기는 되어야 우리 눈에 유성으로 보이지요. 별똥별의 속도는 초속 약 11km에서 초속 72km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유성체는 보통 약 100km 상공에서 불타며 빛이 나기 시작해요. 이곳에는 공기 ... ...
[2022 IAC 탐방기]국제우주대회에서 뉴스페이스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볼 수 있을 정도로 작게 쪼개진 암석 조각이었다. 첨단 기술이 각축하는 현장에서
모래알
만큼이나 작은 샘플을 내놓은 JAXA의 자신감은 무엇이었을까.1960년대 NASA 아폴로 임무 중 하나는 달 토양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시커먼 달 토양과 암석 등을 지구로 가져왔고, 전 세계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2020년까지 디지털 세상에 저장되는 정보량은 약 40제타바이트(ZB)로, 전 세계 해변의
모래알
의 수 7억 50만 조(700500000000000000000)보다 약 57배나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 심지어 그 용량은 앞으로 더욱 늘어나 2025년에는 180제타바이트까지 증가된다고 했지요.그래서 디지털에 대해 잘 알고, 올바르게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개발한 심정을 이해할걸요? ‘데이터 보정’이라는 힘들고 고된 일모래사장에서
모래알
하나를 찾는 일, 2015년에 제가 하고 있었어요. 미국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에서 입자 충돌 실험인 PHENIX에 참여하고 있을 때였지요. 양성자를 서로 충돌시키면 나오는 ‘바텀 쿼크*’가 한 번 더 붕괴해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걸린 침팬지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찾아냈어요. 조각난 침팬지 유전자들 사이에서
모래알
을 뒤지듯 바이러스의 유전자 조각을 찾아내고 연결하는 고된 작업이었지요.그런데 호턴 교수가 찾은 유전체는 사실 ‘X꼬리’라고 불리는 일부가 없는 미완성이었어요. C형 간염이 이 바이러스 때문이라는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던져 충돌시키려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매우 성공시키기 어려운 실험일 거예요.
모래알
을 충돌시키기도 쉽지 않은데, 양성자처럼 보이지도 않는 입자를 충돌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비결은 양으로 승부하는 거예요. 양손에 모래를 한 움큼씩 쥐고 양쪽으로 던지면 그중 일부는 서로 부딪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