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
리드온니메모리
찰흙
loam
로마
Rome
read-only memory
d라이브러리
"
롬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공명하는 현상) 때문이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로버트 자이델 독일 헬름 홀츠-젠트
롬
베를린연구소 연구원은 “금속성 물이 지구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것과 동시에 그것의 분광학적 특성을 함께 밝 혀낸 연구”라고 의의를 ... ...
[수학체험실] 정사각형 다섯 개가 만드는 마법 펜토미노 달력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를 붙여 만든 단어로, 1953년 당시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생이었던 솔로몬 골
롬
이 이름 붙였다. 펜토미노 퍼즐을 언제부터 즐겼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907년 영국의 퍼즐 디자이너 헨리 듀드니가 저서 ‘캔터베리 퍼즐’에서 펜토미노 12가지와 2×2 테트로미노 ... ...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대가리’를 유사한 형태의 ‘머가리’라고 쓰거나 ‘눈물’을 뒤집은 모양으로 ‘
롬
곡’으로 바꿔쓰는 겁니다. 이런 단어들까지 효과적으로 잡아낼 수 있어야 악플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겠죠? 또 ‘머가리’가 ‘대가리’임을 파악하더라도 그것이 나쁜 의도로 쓰였는지 알아내는 것도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클락(Clock)’과 ‘비말원(BMAL1)’이, 하위 유전자군에는 ‘피리어드(PER)’과 ‘크립토크
롬
(CRY)’ 계열 등이 밝혀졌다. 2003년 시몬 아처 영국 서레이대 교수팀은 수면위상지연증후군(DSPS) 환자의 유전자를 조사했다. DSPS 환자는 원하는 시간대보다 훨씬 늦게 잠들고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 한다.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흩어져 있던 후각 수용체 유전자들이 서로 뭉쳐서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롬
바르다스 교수는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인핸서(enhancer) 그룹이 발현할 유전자를 선택하고 활성을 조절한다”며 “이렇게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끼리 상호 작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설명했다. ... ...
[화보] 바다, 미시,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정체는 열대부터 한대까지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규조류 ‘코시노디스쿠스 아스테
롬
파루스(Coscinodiscus asteromphalus)다. 접시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구멍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가 특징이다. 국내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에 주로 서식하고 있다. 선인장 x9000 뾰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않는지 추가적으로 밝혀내야 할 것”이라는 제이슨 스나이더 캐나다 브리티시컬
롬
비아대 교수의 리뷰를 같이 실었다.해마에서 신경세포가 생성되지 않아도 새로운 기억을 저장하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을까. 오 소장은 “새로운 기억의 저장은 뉴런의 생성이 아니라 뉴런과 뉴런의 연결, 즉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연구팀은 그린란드에 있는 거대 빙하 ‘자카리아 이스트
롬
’에서 매년 50억t에 가까운 얼음이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2016년 미국과 호주 공동연구팀도 남극 동쪽에 있는 가장 큰 빙하인 토텐빙하가 녹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측정 결과, 따뜻해진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피어리어드(period)’ ‘타임리스(timeless)’ ‘클락(clock)’ ‘사이클(cycle)’ ‘크립토크
롬
(cryptochrome)’ 등 생체 리듬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여럿 발견됐다. 임 교수는 KAIST 박사후연구원이던 2006년,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후보 유전자 ‘cg4857’을 처음 발굴했다. c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용한 귀소본능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사람의 눈에는 새와 비슷하게 크립토크
롬
이 들어 있어서 자기장을 느낄 수 있다(doi:10.1038/ncomms1364). 그렇다면 이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과 위치를 알 수 있을까. 지난 6월 과학잡지 ‘사이언스’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리 및 행성학과 조세프 커슈빙크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