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맹
호방
d라이브러리
"
과감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개구멍을 엉금엉금! 탐험의 시작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백운산을 거닐다 작은 구멍에서 시원한 바람이 새어 나오는 걸 발견했습니다. 그리곤
과감
하게도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려 동굴 입구를 넓힌 뒤, 가치 있는 동굴임을 확인하고 지방 관청에 신고했지요.당시 우경식 교수님은 백룡동굴을 개발하는 데 앞장선 전문가 중 한 사람이었어요. 동굴의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그린 그림에서는 꽃이 12송이 또는 15송이나 되지. 이뿐만 아니라 색채와 형태도 더욱
과감
해져. 해바라기가 마치 샛노란 태양이 이글거리는 듯이 보이거든. 전문가들은 고흐가 이때 그림에 자기 영혼을 담는 방법을 완벽히 터득했다고 분석하고 있어. 이 중에서 괴도키드가 훔쳐가겠다고 경고한 건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게 쉬웠다. 이런 독특한 제작 방법이 세상에 알려지고, 주목을 받자 카르호프는 더
과감
해졌다. 만들 수 있는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가구를 만들고 싶었다.바람으로는 가구 전체를 만들 수 없었다. 그래서 나무로 만든 의자나 소파의 방석 부분과 침대 덮개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게 탄생한 가구는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수 있고, 매우 안정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계산을 통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는데,
과감
하게도 학계의 주류 의견보다 수천만 배나 무거운 2GeV/c2(양성자의 약 2배) 이상이었다.2000년에야 발견된 타우 중성미자의 질량은 ‘겨우’ 15.5MeV/c2였다. 이 박사가 예측했던 것보다는 100분의 1이상 가벼웠다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높은 실패 사례들은 의사결정자들이 야근과 수면 부족에 ‘취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과감
하게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직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저지르는 건 직원 개인의 품성이나 가치관의 결함 때문이기보다는 야근을 방조하고 부추기며 성과를 닦달하는 조직문화 때문은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앞에서 젖가슴을 내놓는다는 건 상상하지도 못했던 여성이 젖을 보채는 아이에 반응해
과감
한 행동을 한다. 배고픈 아기를 먹여야 한다는 생각이 다른 모든 생각을 압도하기 때문이다.“여자는 약하지만 엄마는 강하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엄마는 똑똑하고 용감하다”는 말을 덧붙여야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실을 생각하면 파격적이다.체외수정 연구는 논란이 아직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과감
한 선택으로 평가된다. 시술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난자를 채취하는 부담이 있는데다, 수상자 발표 당일 교황청이 곧바로 “체외수정 기술 때문에 수백만 개의 난자가 죽거나 버려지고 있다”고 비판 성명을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냥감을 가리키는 행동에 관여하는 유전자 후보인 CNIH는 뇌신경 발달에 관여한다.
과감
성에 연관된 유전자 PCDH9는 시냅스 접합 부위에 위치하는 단백질의 유전자로 특정한 신경 연결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유전자의 SNP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 변이를 일으키는지는 아직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회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노력과 함께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감
해진 ‘네이처’, 소심해진 ‘사이언스’“최근 CNS 저널을 보면 거의 매주 줄기세포 논문 한두 편은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저자는 없지요.”김계성 교수의 지적대로 최근 미국과 일본 연구자들을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높이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허준은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고 솔직하고
과감
하지만 깐깐한 면도 있었다”며 “소설이나 드라마의 다정하고 인자스러운 인상과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