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에딩턴은 태양과 아주 가까이에 있는 별들의 사진을 찍었어요. 이 별들의 빛은 지구를
향해
오는 과정에서 반드시 태양 곁을 지나게 돼요. 만약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태양 곁을 지나던 빛이 휘어져, 일식 때 측정된 별의 위치와 밤에 본 별의 위치가 달라야 해요. 실제 측정 결과 에딩턴은 둘 ...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6
과거에 먹이가 이동했던 방향을 참고해 먹이의 경로를 예측하고, 가장 확률이 높은 곳을
향해
시선을 움직였지요. 잠자리는 이런 방법으로 하루 동안 수백 마리의 모기와 하루살이를 사냥한답니다.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위더만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곤충인 잠자리도 물체의 경로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6
보물을 얻기 위해 해류를 막았던 걸까? 족보에 다른 내용은 없어?”오로라가 시원이를
향해
물었어요. 그러자 시원이가 족보의 다음 장을 넘겨 보기 시작했지요.“오! 있어! 드디어 보물의 정체를 알아낸 것 같아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프로펠러 크기를 찾기 위해 실험을 거듭했답니다.또 드론은 물 속에 들어간 뒤, 위로
향해
있던 프로펠러 방향을 90° 바꾸어 옆으로 돌려야 해요. 그래야 프로펠러가 물을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물 주머니를 이용했어요. 물을 채우면 한쪽이 무거워지며 방향을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몸 아래쪽을 감싸고 있어야 해요. 하지만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은 등에 붙은 채 하늘을
향해
나 있지요. 따라서 천적들의 공격에 몸통을 전혀 방어를 할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어요.과학자들이 생각해 낸 골판의 다른 기능은 ‘체온 조절’이에요. 스테고사우루스는 파충류였기 때문에 스스로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질량 방출(CME)’이라고 하는데, 엄청난 양의 플라스마가 폭풍처럼 초속 1000km로 지구를
향해
날아와요. 이 입자들은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바꿀 수도 있어요. 그러면 마치 문이 열린 것처럼 대량의 태양풍 입자가 지구로 들어온답니다. 이를 ‘태양폭풍’이라고 해요.지구를 위협하는 태양폭풍을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소리와 함께 집채만 한 파도가 밀려오기 시작했어! 안전 요원은 파도를 타러가는 나를
향해
외쳤어.“삑~! 노란선은 위험해”●인공 파도풀: 인위적으로 파도를 만들어 도심에서도 바다를 느낄 수 있는 수영장.물로 파도를 만들다!인공 파도풀의 파도는 공기나 물을 밀어 보내 수영장 물에 움직임을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우선 탐사선은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시속 72만 4200km의 빠른 속도로 태양을
향해
날아가요. 이 속도로 날아가면 3개월 만에 태양에 도착한답니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인간이 만든 가장 빠른 물체로 기록될 예정이에요.그리고 나서는 태양을 돌면서 태양과 점점 가까워져요. 이때 속도를 천천히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통해 거리를 아는 방법과 비슷해요. 실제로 연구팀은 테일러 빙하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촘촘하게 전파를 쏘고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빙하 속 지형의 깊이를 알아냈지요. 그 결과 피의 폭포에서 최대 45m 떨어진 곳까지 바닷물이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유지하기 위해 깃털을 말려야 해요. 그래서 갈라파고스 섬 해변에서는 제가 태양을
향해
양쪽 날개를 펴고, 물기를 말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지요.어떻게 날지 못하게 된 거니?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갈라파고스 가마우지와 다른 가마우지 종의 유전자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