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토롤라"(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과학동아 l201210
- 집념 하나로 컴퓨터공학과 연구실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 때 만든 컴퓨터는 모토롤라 68000 프로세서(필자가 어렸을 때 오락실 기계들이 애용하던 프로세서)가 16MHz(메가헤르츠, 1MHz=106Hz)로 동작했다. 여기에 512KB(킬로바이트) SRAM, 128KB ROM을 탑재하고 3인치 8컬러 LCD와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컴퓨터였다. ...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과학동아 l201103
- 아날로그 방식은 소리의 파형을 그대로 전자파로 변형해 정보를 전달한다. 1970년대 모토롤라가 미국 시카고에서 처음으로 아날로그 방식의 이동통신을 시작했다. 거기에 쓰인 주파수 변조 방식이 아직 라디오에서 쓰고 있는 FM이다.휴대전화를 영어로는 ‘Cellular Phone’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도 ...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과학동아 l201102
- 뒤 컴퓨터를 비롯한 통신 장비를 다룬 경험이 부족하다고 느껴 세계적 통신회사 ‘모토롤라’에 들어갔습니다. 회사에서 얻은 실무 경험은 강단으로 돌아와 이동통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어요.”기초핵심연구가 세계를 이끈다이 교수는 2010년 ‘한국공학상’을 수상했다. OF ...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과학동아 l200704
- 최초의 휴대전화는 1983년 모토롤라가 개발한 ‘다이나택’(DynaTAC 8000X)이다. 다이나택은 모토롤라가 1973년부터 약 10년 동안 여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끝에 상용화시킨 모델이다.다이나택은 갖고 다닐 수는 있었지만 25cm 크기에 약 800g의 무게로 오늘날처럼 주머니에 넣을만한 크기는 아니었다. ... ...
- 2. 디지털 솔저과학동아 l200610
- 같은 무기를 다룰 때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넣었다. CRS는 미국의 모토롤라가 개발하고 있다.전투복도 독특하다. 랜드 워리어의 전투복에는 ‘적재 운반 장비’(LCE, Load Carrying Equipment)라는 것이 들어있는데, 이는 병사의 몸에 맞도록 유연성이 좋은 뼈대를 전투복에 넣어 ...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과학동아 l200506
- 가볍다는 점을 선전하기 바빴다. 크기와 무게가 곧 휴대전화의 기술을 상징했다. 1983년 모토롤라가 개발한 최초의 휴대전화 ‘다이나택’은 1.3kg이었다. 5년 뒤 ‘다이나택 8000’은 771g으로 무게가 절반가량 줄었다.하지만 최근 휴대전화는 몸집 줄이기를 포기했다. 이보다는 음악, 영상, 인터넷 등 ...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과학동아 l200312
- 의료,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제품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Z코퍼레이션의 경우 모토롤라, 소니, 포드, 보잉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고객으로 하고 있다.3차원 다중재료 인쇄 기술의 아이디어는 단순하다. 제품 디자인을 부피 픽셀인 수많은 복셀(voxel)들로 나눈 후 디자인의 각 위치에 3차원 ...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200207
- 작동하기 힘든 환경에서도 완벽하게 작동하는 64Kbit M램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모토롤라는 지난 6월 10일에 1Mbit의 M램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M램이 2-3년 후에 시장에 정식 출시돼 2010년쯤에 D램을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F램은 자기적 성질을 강하게 띤 물질(강유전체)을 데이터 저장에 ...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과학동아 l200202
- 마이크로프로세서(CPU)를 내장하지 않은 단순한 메모리 카드의 개념으로 사용했다. 1977년 모토롤라와 불사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 카드를 생산해 프랑스 금융서비스 분야에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CPU가 내장된 본격적인 스마트카드의 시대가 열렸다. 2000년을 기준으로 ...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과학동아 l200109
- 휴대전화 업체들’. 휴대전화가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을 부정해 왔던 노키아, 에릭슨, 모토롤라 등 세계 3대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뇌종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치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올해 신문지면을 장식한 휴대폰 전자파 관련 기사 중 일부다. 현재 국내 휴대폰 이용자는 전체 국민의 5명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