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물
담수
연수
d라이브러리
"
단물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
과학동아
l
201706
작전을 구사하며 각자의 생존력을 극대화시킨다. 얌체처럼 일방적으로 다른 클론의 ‘
단물
’을 빨아먹으며 뒤통수를 치는 클론도 있는 반면, 서로 손을 잡고 기존에 없던 능력을 창조해내는 클론들도 있다. 한편에선 클론 사이에 죽고 죽이는 살벌한 전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
이걸 3~4시간 정도 졸이면 조청이 된답니다. 이때 면주머니에 넣기 전 삭은 곡물과
단물
이 섞여 있는 것이 식혜예요. 조청보다 더 걸쭉하게 졸이면 엿이 되고요.조청은 이처럼 만드는 과정이 까다롭고 시간도 오래 걸려요. 게다가 1kg의 조청을 얻기 위해서는 쌀 2kg을 써야 할 정도로 재료도 많이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01
역시 비옥한 화산 토양에 있다. 화산재가 지나갔던 산자락에는 커피농장이 들어서 있다.
단물
을 빼기 위해 물에 담갔던 커피콩을 투박한 망에 거르거나, 땅에 넓게 펼쳐 햇볕으로 말리는 등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수작업으로 커피를 가공하는 것도 비결이다. 특히 피베리(peaberry) 커피는 반으로 ... ...
Part I. 불안이 몰고 온 현대의 비극,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1210
보인다. 쥐로 실험을 해보면, 스트레스를 받은 쥐는
단물
을 실컷 먹인 뒤에도 평소처럼
단물
이 나오는 버튼을 계속 눌러 또 먹는다. 반면 정상 쥐는 배가 부르면 누르지 않는다. 이 쥐의 뇌를 해부했다. 습관적인 행동을 관장하는 부분은 뇌의 뒷부분에 위치한 ‘선조체’에 있는데, 스트레스를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12
제올라이트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물에 녹아 있는 Ca2+이나 Mg2+을 잡아먹기 때문에 센물을
단물
로 바꾼다. 그래서 세제가 물에 잘 녹고 때도 잘 빠진다. [그림4 - 제올라이트의 구조를 3D화한 사진. 빈 공간이 많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1756년 광물을 연구하던 크롱스테드가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01
깃은 검은 갈색이다. 진딧물은 식물의 즙액을 먹고 개미는 진딧물의 꽁지에서 나오는
단물
을 먹는다. 진딧물은 식물의 즙액에 들어 있는 당분을 먹고 남는 것은 배설한다. 이 배설물을 먹으려고 개미를 비롯해 파리, 기생벌 등이 모여든다. 진딧물은 개미에게 최고의 바텐더지만 식물에게는 엽록소를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11
입 안에
단물
이 확 퍼진다.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만든다는 게 실감 난다. 우적우적 씹어
단물
을 빨아 먹은 뒤 남은 섬유질 속은 뱉어냈다.“대가 잘린 자리 옆에서 눈이 나와 또 식물이 자랍니다. 이런 식으로 7~8번 수확할 수 있죠.” 키가 3~4m나 되는 사탕수수가 즐비한 밭 옆에는 잎이 서너 개 달린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3
마그네슘염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로 보통 경도가 20 이상일 경우에 ‘센물’, 20 이하면 ‘
단물
’이라고 부른다.경도는 칼슘 함유량에 2.5를 곱한 뒤 마그네슘 함유량에 4.1을 곱한 값과 더해서 구한다. 예를 들어 워터비스에서 판매하는 ‘몸애(愛)좋은물’의 경우 18(칼슘)×2.5+26(마그네슘)×4.1를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10
성적 유인물을 분비해 공격자를 혼란시키기도 한다.야생장미의 어린 순은 유난히 연하고
단물
도 많아 진딧물들의 무자비한 공격을 받기 쉽다. 장미는 진딧물이 공격하는 어린 순에서 특수한 휘발성 기체를 만들어 공기 중으로 신호를 보낸다. 이 가스는 주변의 식물들에게 적이 출현했으니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12
단물
이 다 빠진 이후 몇분동안 씹도록 권하고 있다. 껌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단물
만 빨고 껌씹기를 그만두면 오히려 충치의 원인이 되는 껌의 단 성분이 입안에 남게 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 해소냐 충치예방이냐에 따라 껌 씹는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 셈이다.만일 무리하게 껌씹기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