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념비"(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09
-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인 논문이었다.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02
- 그렇게 돼서 문자마저 소실되면 별 수 없지만. 아니면 자신들의 멸종을 예상하고 남겨둔 기념비… 혹은 묘비인지도 몰라. 물론, 어쩌면 네 말대로 멍청한 외계 종족이 자기 디스크랑 디지털 연산을 몰라서 멍청하게 일일이 대출 카드 작성하고 손수레에 플라스틱판을 날라다 찍어서 대출하고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사실을 밝혀내 1974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DNA 복구’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열어젖힌 기념비적인 성과였다.짝을 잘못 찾은 염기를 바로잡는 표지판1946년 미국 뉴멕시코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폴 모드리치 교수는 ‘DNA 불일치 복구’를 밝혔다. 생물학 교사였던 아버지는 1963년 모드리치를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05
- 1969년과 1976년에 발표한 논문은 시조새와 현생 조류의 유사성을 해부학적으로 밝힌 기념비적인 논문들이다. 오스트롬 교수는 백악기 전기의 육식공룡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와 ‘시조새와 새의 기원’을 연구한 각각의 논문을 통해 조류 골격의 특징들이 수각류 공룡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 ...
- 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과학동아 l201501
- 중력이론을 ‘물체와 시공간의 상호작용’으로 대체한 일반상대론은 인류의 지성사에서 기념비가 될 만한 업적이다. 지금부터 우주선을 타고 다섯 단계로 압축된 일반상대론의 우주를 탐험해 보자. 좀 어렵긴 해도 찬찬히 여행을 끝낸다면 당신은 ‘일반상대론을 이해하는 11번째 사람’이 되어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12
- 장치를 이용해서 핵융합 에너지 실험을 진행한다.실제 전기 생산 직전까지 실험이터는 기념비적인 프로젝트다. 지금까지 연구해온 초전도 토카막 건설과 운영 기술, 플라스마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07
- 워릭 초빙교수는 6월 8일 유진의 성공을 알리며 “튜링 테스트 통과라는 인공지능 분야의 기념비적인 사건이 영국 과학의 고향인 왕립학회에서 일어났다는 것은 잘 어울리는 일”이라며 “이는 가장 흥분되는 사건으로 역사에 남을 것”이라고 찬사를 보냈다. 재미있는 것은 이어지는 워릭 교수의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06
- 왜 짚신나물을 빻아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2003년 9월 15일, 우리나라에서 기념비적 드라마가 첫 방송됐다. 세계적 인기를 누린 ‘대장금’이다. 의녀 장금의 모험담뿐만 아니라, 우리 야생화 200종으로 만든 궁중음식과 각종 약재를 만나는 것도 큰 즐거움이었다. 마침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08
- 수학자들을 괴롭히던 문제인 ‘푸앵카레 추측’ 문제를 5차원 이상에서 완벽히 해결하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내 수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푸앵카레 추측은 ‘위상공간의 국지적 성질로부터 대역적 성질을 유추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쉽게 말하자면 ‘큰 풍선 위를 기어가는 개미가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01
- 컬리지, 헨리 8세가 가장 좋아했다던 햄프턴 코트 궁전, 켄징턴 궁전, 런던 대화재 추모 기념비 등 많은 그의 건축물들이 런던 시내를 장식하고 있답니다. 천천히 걷다 보면 18세기 영국 전역에 바로크 건축 양식의 붐을 일으킨 그의 영향력을 느낄 수가 있어요.사실 렌이 살던 시대에는 학자가 건축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