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부
일부분
일부
국소
부분
저승
지옥
d라이브러리
"
국부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604
많이 모인 곳의 전자기장을 상쇄하기 위해 전자 집단이 이동하듯, 플라스마 입자 들이
국부
적인 전자기장을 상쇄하기 위해 움 직임으로써 전체적으로 전자의 밀도와 양 이온의 밀도가 비슷해져 중성이 된다. 마지막 조건은 플라스마가 가진 고유한 진동이다. 아직 이온화되지 않은 중성입자 들이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08
간의 중력 영향으로 가스로 이뤄진긴 꼬리 구조(일명 ‘마젤란 흐름’)를 만들어낸다.
국부
은하군의 왜소은하를 관찰하다 보면 문득 우리가 우리은하라는 커다란 ‘집’에 갇혀있다는 느낌이 든다. 더 멀리 드넓은 우주 공간이 펼쳐져 있는데, 우리은하의 별에 의해 가로막혀 있다는 느낌이다.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401
영향을 끼칠 리가 있습니까? 아예 은하계 내에서 태양계의 위치도 고려하라고 하지요.
국부
은하군 내에서 우리은하의 위치라든가. 우주의 기운을 받는다면 그런 것도 다 고려해야 하지 않겠습니까?인생 모르는 겁니다. 쓸데없이 점쟁이에게 갖다 줄 돈 있으면 저축을 하든지 책이나 사서 보는 게 10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
과학동아
l
201312
없다.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이제는 밀코메다은하), 그리고 몇 개의 은하가 포함된
국부
은하군 정도의 규모에서는 아직 암흑에너지보다 중력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여기에 속한 은하는 서로 가까워지다가 점차 하나의 거대한 은하로 합쳐진다. 중력보다 우주팽창의 영향을 크게 받는 먼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01
00여개가 모이면 ‘은하단’이 된다.(우리 은하는 은하단보다 작은 규모(40여개의 은하)인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1933년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즈위키는 은하단에 속해 있는 은하의 이동속도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은하단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은하단의 추정질량을 통해 계산해 보았을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한다. 현재 선박은 20~40mm의 두꺼운 철강판으로 선체를 만든다. 쇄빙선 등 특수선은
국부
적으로 매우 두꺼운 강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선체 두께가 증가하면 선박 전체의 무게도 늘어나고 구조적 안전성 문제가 발생한다.특히 선박이 길어지면 바다위에서 휘청거리는 정도가 심해진다. 선박은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03
말한다. 보이지 않는 손은 영국의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가 그의 저서 과 에서 시장의 자율 조정 기능을 표현한 말이다. 그는 시장에 참여한 사람들이 각자의 이익를 위해 경쟁하며, 수요와 공급을 움직이기 때문에 가격이 자율적으로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을‘보이지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09
두고 제작한다”고 말했다.차량에서는
국부
진동도 발생한다. 차량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국부
진동으로는 핸들을 통해 전달되는 수완계 진동과, 발로 전달되는 진동과 같이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것이 있다.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연히 접촉 부위의 진동량을 줄이면 된다. 그러나 ... ...
선박저항추진학
과학동아
l
201101
전공을 선택해 연구할 수 있다. 유체역학을 비롯해 실험을 위한 전기전자 및 제어,
국부
유동 계측실험 및 전산유체역학을 익히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한다.7.취업을 선택하면요?선박저항추진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기업으로 진출하면 주로 조선소의 연구직으로 취업한다. 국내 조선산업이 세계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01
번 있을 만한 홍수를 상정하고 둑을 쌓는데, 이처럼 수백 년 또는 1000년에 한번 올 홍수가
국부
적이긴 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모든 곳에 새로 둑을 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둑을 높이 쌓는 것 같은 구조적인 해결책에서 하천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피해가 예상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