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블루
blue
블루우
스페셜
"
파란색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즉 BMP신호가 활성화되면(빨간색) 땀샘(포유류)이나 비늘(조류)이 되고 억제되면(
파란색
) 털이나 깃털이 된다. - K. Sutliff/‘사이언스’ 제공 ● 털에 있어서 인간은 별종 포유류 체계적으로 정리된 교재를 읽는 것만은 못하겠지만 한 주제를 폭넓게 다룬 교양과학책을 읽는 것도 숲을 보는데 도움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사이의 시냅스 가지치기 과정에서 식작용을 하는 장면. 불필요한 시냅스 조각(빨간색과
파란색
)을 먹어치우고 있다. - 뉴런 제공 그런데 최근 수년 사이 놀라운 발견이 이어지고 있다. 미세아교세포가 뇌발달 과정에서 꼭 필요한 시냅스 가지치기만 하면 좋으련만 그냥 놔둬야 할 시냅스까지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입증하는 관측결과는 없는 상태였다. ‘네이처’ 2015년 2월 12일자에는 먼지(
파란색
)에 둘러싸인 밀도가 높은 가스구름(흰색) 덩어리에서 별이 형성되고 있는 장면을 VLA로 관측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빨간 점은 원시별이고 검은 점들은 구름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부분으로 앞으로 원시별로 진행될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대부분이고 해류의 영향으로 북반구와 남반구의 중위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아래
파란색
점 하나는 100억 개를 뜻한다. 맨 아래 노란색 숫자는 1000t 단위다. - 네이처 제공 ● 이미 영향 주는 걸로 보여 학술지 ‘사이언스’ 6월 3일자에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실제 바다에서 존재하는 수준일 때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데이터를 보면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추정되는 부분에서 티타늄(Ti,
파란색
)과 칼륨(K, 보라색)의 그래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농도를 나타내는 세로축은 로그척도다. - 네이처 제공 즉 이 암석에는 원래 금운모라는 광물이 풍부했고 따라서 티타늄과 칼륨의 함량이 높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파란색
눈동자를 치뜨고 있는 상어의 모습이 등장했다. 덴마크 연구진이 대서양에 사는 ‘그린란드상어’가 400년 이상 장수하는 동물이란 사실을 새롭게 조명했다. 이는 현재까지 수명이 가장 긴 척추동물로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하류(아래쪽
파란색
점선)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줄기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site)이 하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이 한층 힘을 얻게 됐다. - 사이언스 제공 ● 지진으로 산사태 나 댐 만들어져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짧은 파장과 중간파장의 흡수도가 꽤 높고 긴 파장은 거의 흡수하지 않는다(그래프에서
파란색
선). 그 결과 반사되거나(녹색 선) 투과되는(빨간색 선) 빛 대부분은 긴 파장이다. 개양귀비가 선명한 붉은색인 이유다. 그런데 스펙트럼을 자세히 보면 반사도보다 투과도가 더 크다. 물론 양귀비는 꽃이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원인이라고 생각했지만 본격적인 연구결과 글루타메이트(흥분성 신경전달물질) 뉴런(
파란색
)과 가바(GABA,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뉴런(회색)이 함께 개입하는 복잡한 네트워크의 장애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결과 중격핵(nucleus accumbens)에서는 도파인이 넘쳐 환각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전전두피질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throughput), 즉 빛에서 망막에 도달하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빨간색 등고선은 80%,
파란색
은 60%, 녹색은 40%, 노란색은 20%다. 가로형 눈동자는 등고선도 납작해 위아래 정보보다는 좌우정보를 더 많이 처리한다. - 사이언스 어드밴스 제공 초식동물의 경우 천적의 정확한 거리보다는 존재 차체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