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뱅크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개발
아시아
애이시아
에이시아
개발은행
스페셜
"
은행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논문과 900건이 넘는 국내외 특허 출원, 등록을 이뤄냈다. 그가 운영했던 ‘식물추출
은행
’에는 현재 국내 식물 2000여 종, 해외 식물 1만여 종이 있다. 이렇게 얻은 식물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신약 개발 사업도 진행했다. 한 과학자에게 단장을 맡기고 연구비 집행 등 과학자가 일괄 진행하는 체제를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그동안 소규모 단편적인 연구에 그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가축질병, 종자
은행
등의 연구를 지원했어야 했는데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반성한다. 국가적으로는 BT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나가겠다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된 한 해였다. ▽김선영=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단은 올해 6월 설립됐다.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0.11.03
이화학연구소(RIKEN)를 아시아자원허브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1969년 출범한 독일 생물자원
은행
(DSMZ)은 현재 유럽연합(EU)의 생명연구자원센터의 중심지로 꼽힌다. 반면 국내에서는 각 부처별로 각개약진하는 형태다. 현재 농식품부는 식물자원, 환경부는 동물자원 등 각 부처별 특성에 맞는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실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정 단장은 “국내 식물
은행
으로 출범했지만 현재는 세계 식물
은행
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했다. 30만종이나 되는 전 세계 식물자원 가운데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가 향후 신약개발과 같은 주요 연구에 큰 도움이 되리라는 판단에서다. ‘해외생물확보활용사업’을 위해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1999. 3 ~ 2000. 2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2000. 3 ~ 2001. 8 국제협력관(이사관) 2001. 9 ~ 2006. 2 세계
은행
선임환경관, 국장급 교육훈련(중앙공무원교육원) 2006. 3 ~ 2007. 3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국정과제국장 2007. 3 ~ 2008. 3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원장 2008. 3 ~ 2009. 9 상하수도정책관 2009. 9 ~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장 ※ 이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미생물 2만2000여건, 신규 단백질 780여건, 저분자 물질 1만2000여점을 확보해 ‘미생물자원
은행
’도 만들었다. 국제 정보사이트(www.gem.re.kr)를 만들어 총 25만여 명의 과학기술자들이 다녀갔다. 이 중 60%는 해외 과학자들이다. 오 단장은 “여러 사람이 모여 이런 과학기술 인프라를 만드는 것이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만들 수 있는 셈이다. 그렇기에 2004년 수산과학원에 설립된 육종센터는 사실상 ‘육종
은행
’에 가깝다. ● 육종은 생물종 다양성 유지하는 기술 생물종이 다양한 형질을 잃지 않고 다음 세대로 넘어가야 하는 이유는 그 종의 생존과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양식업계에서 퇴출 위기에 몰렸다가 다시 ... ...
이전
15
16
17
18
1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