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스페셜
"
반사
"(으)로 총 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이런 밝기 변화를 표면적은 커리클로의 15%이지만 얼음이 풍부해
반사
도가 3배나 되는 고리의 원반 면이 지구에 대해 어떤 각도로 위치하느냐에 따른 결과라고 보면 완벽하게 설명된다는 것. 그런데 이렇게 작은 천체가 어떻게 고리를 갖게 됐을까.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이들이 감지한 정보는 저마다 짝이 되는 신경을 타고 뇌나 척수로 흘러가 지각되거나
반사
적 행동을 일으킨다. 그렇다면 필자가 앞에서 언급한 맥락의 느낌, 즉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기분 좋은 터치는 어떻게 전달되는 것일까. ●피부는 초속 3cm를 좋아해 1990년대 신경과학자들은 ‘C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한밤중에 적이 쳐들어오면 횃불로 봉화를 올렸다. 인디언들은 햇빛을 거울에
반사
시켜 원거리 통신을 했다. 바다에서는 등대가 불을 깜빡거리며 위치를 알렸고, 해군함정들은 전략신호를 빛으로 주고받았다.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례로는 신호등이 있다. 녹색 불이 깜빡거리면 다음에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멜라닌이나 베타카로틴처럼 분자가 가시광선에서 특정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를
반사
해 색을 내는 게 색소색이라면, 나노구조를 띠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을 보강간섭하거나 산란시켜 나타나는 색이 구조색이다. 몰포나비의 번쩍번쩍하는 파란색이 대표적인 구조색으로 파란색 파장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LA로 이사를 하면서 천문학에 푹 빠지게 된다.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인 지름 2.5미터
반사
망원경이 있는 윌슨산천문대가 가까웠기 때문이다. 허빅은 10대 때 망원경을 직접 만들기도 했고 LA천문학회에도 가입해 윌슨산에서 관측하는 기회를 얻기도 했다. 그는 20살 때 별의 지름을 다룬 첫 논문을 ... ...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거의 대부분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전문가용이라고 하는 DSLR(디지털 일안
반사
식 카메라)도 인기를 끌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을 교체할 수고를 덜어주고 인화나 현상을 할 필요도 없다. 대신 경치나 인물 등 피사체에 빠져 정신없이 사진을 찍다가 데이터 용량이 넘지 않을까, ... ...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케라틴으로 된 우리의 손톱처럼 빛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다. 털이 햇빛에
반사
돼 우리 눈에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즉 북극곰의 털은 가늘고 길며 속이 빈 반투명 플라스틱 튜브를 닮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북극곰에 대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은 또 있다. 바로 속살의 색깔이다.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12만1100킬로미터 떨어져 있을 때 카나리군도에 있는 망원경이 측정한 파장에 따른
반사
율 데이터. 7일 2:45:40 KLM의 기장 론 드 포터가 서너차례 섬광을 봤다고 보고. 2:45:46 기상위성 메터오샛-8이 포착한 소행성 폭발 직후 남은 먼지 구름. 3:27 불꽃이 사라진 뒤 남은 구름. 현지시간으로는 오전 6시 2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소나(Sonar)를 이용한 방식이다. 소나는 수중에서 초음파을 쏘면 다른 물체에 닿았을 때
반사
돼 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해 물체가 있는지,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를 인식하는 음파탐지기다. 물론 이런 방식도 수온이나 농도, 깊이 등으로 인해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미내로는 이를 해결하고 정확한 위치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0
소나(Sonar)를 이용한 방식이다. 소나는 수중에서 초음파을 쏘면 다른 물체에 닿았을 때
반사
돼 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해 물체가 있는지,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를 인식하는 음파탐지기다. 물론 이런 방식도 수온이나 농도, 깊이 등으로 인해 오차가 생길 수 있다. 미내로는 이를 해결하고 정확한 위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