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역시나 코로나19 연구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장혜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코로나19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만들었다.
그림
은 코로나19의 유전체 RNA와 하위유전체 RNA 구성, 바이러스 입자 구조의 모식도다. IBS 제공 기초 의학을 다루는 의과학 부문에서는 코로나19 관련한 3건의 연구가 우수 연구에 포함됐다. 이은정 순천향대 ... ...
영국에서 확산하는 코로나19 변이체, 알려진 것과 아직 모르는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질병관리센터(CDC)가 만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미세구조
그림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제공 이달 들어 영국을 중심으로 돌연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유럽 등 각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이 코로나19 변이체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③ 정의를 엄밀하게 그래야 우리말 혼란을 줄일 수 있어
2020.12.18
얻은 사실이나 정보. 3) 『정보·통신』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문자, 숫자, 소리,
그림
따위의 형태로 된 정보. 참고로, 국어사전에 그 말이 올라 있다고 하여 그 말이 외래어로 인정받았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한국 사람들이 쓰는 낱말 가운데 꽤 많이 쓰는 말은 욕이든 외국어든 전문용어든 ... ...
인류가 달에서 가져온 토양 382kg…한국은 '
그림
의 떡'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1972년 달에 도착한 아폴로 17호의 우주비행사 유진 서난이 달 표면에서 토양(레골리스)과 암석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NASA 제공 “좋은 시료부터 확보합시다.”(유진 서넌 아폴로 17호 우주비행사) 그들은 크레이터의 시료에 다가갔다. 달에서 처음 주황색 흙을 발견한 이들은 흥분 상 ... ...
[랩큐멘터리]머리카락 수십만 분의 1 크기의 나노용기가 세상에 기여하는 방식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나노공간한정 화학반응 창의연구단은 나노 공간이라는 도구로 각자의 개성을 담은
그림
을 그리고 있다. 포스텍 나노스케일 공간한정 화학반응 연구단 보기 https://youtu.be/7nMHt_tlous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 ...
2020년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 2위 자리 굳힐까
2020.12.15
그림
은 2020년 11월 세계 평균 수온과 지표면 온도 분포를 가지고 시각화한 자료다. 색이 붉을수록 온도가 높고 파랄수록 낮은 온도다.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 제공 2020년은 인류가 기온을 측정한 이래 두 번째로 더웠던 해로 기록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올해 1월부터 1 ... ...
만능 독감 백신 임상 시험 첫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주범인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
. 공처럼 둥근 모양으로 지름은 약 80~120nm다.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표면에 나 있는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과 뉴라미니데이스(NA 단백질) 수용체의 종류를 보고 바이러스 균주의 이름을 정한다. 매년 흔히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 ...
차내 코로나19 전파 막으려면 어떤 창문 열어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나타낸
그림
. 공기가 정체돼 오래 정체돼 있을수록 붉어진다. 윗줄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림
을 비교하면 두 사람이 서로 먼쪽 창문을 열었을 때 에어로졸 입자의 밀도가 낮고 전파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논문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걸린 사람과 한 차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기술인력’이란 무엇인가
2020.12.03
사회적 지위를 위해 노력했던 20세기초 급진적 과학자들의 흔적이 녹아 있다.
그림
은 세계 과학노동자연맹(World federation of scientific workers)의 로고 한국의 과학기술인들은 잘 모르고 있겠지만, 한국 정부는 이미 오래전부터 과학기술인력을 유네스코의 기준인 STP가 아닌 OECD의 정의를 기준인 HRST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사회를 만들어가는 과학기술로 거듭나야 한다.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자율은
그림
의 떡이다. 당장 코로나19의 극복을 위해 힘을 모으는 일이 시급하다. 세계 최초로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정보통신 기술로 감염자의 추적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성과를 적극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K-방역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