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 고려대 황선욱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8.01
- 조절 약물의 진통제 시장 진입 및 2026년 10억불 매출 달성을 전망하고 있다.   황 교수는 이미 다수의 감각수용체(TRPA1, dTRPA1, TRPV3)를 발견하고 Cell(2003), Nature(2003), Science(2005) 등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6년 케임브리지 국제인명센터로부터 올해의 선도 의학자로 선정된 바 있고, ... ...
                            
                                                              
- 미래 창조산업KOITA                                        l2013.07.31
- 미래 창조산업은 일거리 창출과 미래 성장동력의 역할을 하면서 창조경제시대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디지털과 스마트 부문에서의 성장이 뚜렷하여 게임산업은 스마트 게임과 온라인 게임이 주도하고, 영화는 온라인 영화의 비중이 크게 증가할  ...  ...
                            
                                                              
- 고효율 고분자 광전자 소자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3.07.26
- 30cd/A 이상, 고분자 태양전지 소자 효율은 10% 이상이면 제품 상용화에 활용가능   김진영 교수는“합성된 복합체는 용액공정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정제, 분산, 열처리 과정 없이 소자에 바로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모든 박막 광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로 차세대 광전자소자 개발 선도국과의 ...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동아사이언스                                        l2013.07.25
-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이영희 단장(물리학과 교수)은 우리나라 나노정책이 산업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IBS는 과학자들이 기초연구를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생했다. 단기성과나 연구비에 휘둘리지 ... ...
                            
                                                              
-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3.07.23
-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적절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최의주 교수 연구팀은 루게릭병 발병과정에서의 MST1 신경독성 유발 기능을 규명하고, MST1 저해제를 개발하면 루게릭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루게릭병은 대부분이 산발적 요인에 의해서 ... ...
                            
                                                              
- [표준연] 대덕에 학연간 벽허물기 시동동아사이언스                                        l2013.07.19
- 강점인 KAIST의 측정 원천기술 개발과 KRISS의 측정표준 시스템 기술을 융합한다. 연구원/교수진 상호 방문연구 및 KAIST 우수인력 육성 후 KRISS 연구진 합류 등 인력교육을 활성화하고 실험결과와 첨단 장비시설을 자유롭게 공동 활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KRISS는 연 2~3억 원의 예산을 최대 9년까지 ... ...
                            
                                                              
- 미래 위험과 복원력KOITA                                        l2013.07.18
- 사건의 영향이 전체 시스템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견고성(Robustness-미시건 대학 칼 와익 교수가 주창한 위기경영을 위한 ‘고신뢰조직(HRO,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의 특성이기도 함), 둘째, 필수 잉여자원을 마련하여 대규모 외부 충격에도 시스템 가용성을 보장하는 예비능력(Redundancy), 셋째, ... ...
                            
                                                              
- 2013년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 한국 종합 1위 쾌거동아사이언스                                        l2013.07.16
-  수상 현황 및 대표단은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 대표단    - 단    장 : 전동렬 교수(서울대)    - 부 단 장 : 이무희 교수(건국대)    -대표학생: 김동회(서울과학고 2) 김재원(경기과학고 3)                이재하(서울과학고 3) 이창현(서울과학고 3)                정상수 ... ...
                            
                                                              
- 세계 최대 중성자 산란 국제학회 (ICNS) 2017년 한국에서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3.07.15
- 구성된 한국중성자빔이용자협회((KNBUA; Korea Neutron Beam Users Association, 회장 이기봉 포스텍 교수)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대전으로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ICNS는 연구용 원자로 등을 이용해서 생성된 중성자를 이용해서 물질 구조 분석 및 신물질 특성 연구를 수행하는 중성자 산란(neutron scattering) 연구 ... ...
                            
                                                              
- "나노 연구자들 자신만의 강점을 확보해라"동아사이언스                                        l2013.07.12
-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내실있는 협력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강석중 교수가 말하는 '나노 과학' 발전 방향 ① '나노 과학'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것 ② 기초에 충실한 연구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할 것 ③ 내실있는 국제협력 이룰 수 있도록 연구자만의 강점 키울 것   ※ 편집자 주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