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뉴스
"
학습
"(으)로 총 3,01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증 못느끼는 마취…전기 신호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12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수술받은 약 71만 명 환자의 데이터를 AI에
학습
시켰어요. 나이, 과거의 병력,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등 마취 전 평가 기록을 AI가 읽고 분석하도록 훈련했습니다. 이후 460명의 실제 환자 데이터로 AI가 얼마나 정확하게 마취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지 ... ...
'사이버불링' 겪는 뇌, 전쟁터에 있는 것처럼 반응
과학동아
l
2025.04.12
공유하기 위한 '설명 가능한 AI(XAI)'가 개발되고 있다. 사진은 웹상의 이미지를 기계
학습
한 데이터에 따라 분류, 판단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는 XAI 모델 중 하나인 '그래드 캠(Grad-CAM)'의 예시다. Selvaraju et al.제공 사이버불링 탐지 기술이 정교해질수록 이 탐지를 피해가는 방식도 점점 더 교묘해지고 ... ...
강단 선 이세돌 "AI가 인간 약점 '고정관념' 깰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11일 UNIST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알파고와의 대국이 끝난 뒤 인간의 바둑을
학습
한 AI인데 왜 더 창의적인 바둑을 두는가에 대한 고민이 굉장히 컸다"며 "나름대로 틀에 갇히지 않고 창의적인 바둑을 하려고 노력했지만 저도 모르는 고정관념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통찰, 직관 등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경험만으로 미로 속 보상을 기억하는 생쥐의 능력은 방대한 훈련 데이터를 요구하는 기계
학습
(머신러닝)이 필요한 AI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뇌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선 뇌를 이루는 세포들의 정교한 구조와 연결 방식을 파악해야 한다. DNA 분자 구조를 밝혀낸 영국의 저명한 분자생물학자 ... ...
텔레픽스, 세계경제포럼에 인공위성 기반 지구관측 혁신 사례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초고해상도 위성 이미지와 원자재 현황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
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성 사진 속 원자재 종류와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메탈스코프는 전세계 주요 항만과 물류 거점의 원자재 물동량을 감지·예측하고 공급망 병목 현상이나 수요 급증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 ...
서버 안 올려도 셀카를 지브리풍으로…사생활 보호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계 3대 인공지능 학회 중 한곳인 ‘표현
학습
국제학회(ICLR) 2025’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ICLR은 24~28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doi.org/10.48550/arXiv.2503.0808 ... ...
"상위AI 모델 성능 격차 줄어…美, 더이상 선두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변수를 사용한 모델과 MMLU 테스트에서 같은 점수를 내기도 했다. 크기가 작은 모델은
학습
과 생성이 빠르고 에너지도 더 적게 사용한다. 학계가 중심이었던 과거와 달리 주요 AI 모델 대다수를 산업계에서 만들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인공신경망과 생성형 AI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전인 2000년대 ... ...
"공부 잘하는 약 'ADHD 치료제' 효과, 부작용 감내할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리탈린(성분명 메틸페니데이트)'을 비롯한 ADHD 치료제는
학습
능력을 높여주는 ‘공부 잘하는 약’으로 잘못 인식되면서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약물 오남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청소년 사이에서 비의학적 목적의 복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 ...
컴퓨터 키보드만 쳐도 파킨슨병 발병 확인…정확도 96%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96%의 정확도로 구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키보드 기술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키보드를 누를 때 발생하는 ‘자기탄성’ 변화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다. 자기탄성은 자성과 탄성의 특성을 결합해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감지하는 기술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느린 ... ...
사람처럼 단어 조합해 소통하는 보노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의미를 창출하는 4개의 소리조합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 모델이 언어를
학습
할 때 조합된 단어가 서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분석하는 수학적인 기술을 사용해 보노보 소리조합의 의미를 찾아냈다. 소리조합 중 하나는 멀리 있는 다른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내는 고음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