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자
모형
틀거
판
사진틀
프레임
금형
뉴스
"
틀
"(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이렇게 얻은 세포고기를 구운 미니 스테이크는 동물고기의 풍미와 식감이 느껴져
틀
만 구운 콩고기 스테이크와 차이가 뚜렷했다. 세포고기가 친환경? 지난해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연구자들은 다공성인 조직콩단백질(콩고기)
틀
(왼쪽)에 소의 근육줄기세포와 평활근세포를 배양하면 질감이 ... ...
[주말N수학]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01.02
시야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작곡가는 마지막으로 새로운 세상을 보려면
틀
을 깨야한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김 작곡가는 "피타고라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과학자가 과학과 음악을 모두 가까이했다"며 "사회가 편의상 나눠 놓은 분야에 ... ...
"정부 R&D는 20% 불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위상도 있으나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에 자문회의가 부속된 것처럼 되어 있다”며 “큰
틀
에서 자문회의가 경제수석실 등에서 이야기 들어야 하는데 그런 구조로 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염 부의장은 간담회 이후 통화에서 IBS 바이러스연구소가 추후 감염병연구소에 합쳐져야 한다는 의견은 ... ...
"정부 R&D는 20%밖에 안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위상도 있으나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에 자문회의가 부속된 것처럼 되어 있다”며 “큰
틀
에서 자문회의가 경제수석실 등에서 이야기 들어야 하는데 그런 구조로 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이 이달 29일 온라인으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줌 캡쳐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금속을 제품으로 만들 때는 금속을 녹인 후
틀
에 붓는 주조 공정이나 금속 덩어리를 압축해 제품을 찍어내는 단조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이 쓰인다. 각 공정에 맞춰 다른 특성이 필요해 합금을 새로 개발해도 두 공정 모두에 쓰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힘든 연말을 버티는 방법
2020.12.19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것들과 통제할 수 있는 것들로 버무려져 있다. 생노병사의
틀
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자연재해나 경제 위기, 나라간 분쟁 등도 항상 우리의 의지와 상관 없이 일어난다. 스스로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일이 많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 ...
과기부 'SW 산업인의 날'…석창규·조정일 씨 훈장
연합뉴스
l
2020.12.04
밝혔다. 석창규 대표이사는 핀테크 서비스 연구를 통해 사업의 기업자금 관리
틀
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정일 대표이사는 핀테크 산업을 개척하고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SW 융합에 기여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서형수 알서포트대표이사와 장인수 인젠트 대표이사가 산업포장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기술인력’이란 무엇인가
2020.12.03
정책이었다는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박정희가 시작한 과학기술인력정책의
틀
은 철저히 국가주도의 하향식으로 모든 정책이 기획되고 집행된다는데 있다. 새마을 운동으로 대변되는 박정희식 패러다임은 분명 한국의 빠른 산업화에 도움이 되었지만, 문제는 우리가 박정희 시대 이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해(Annus Mirabilis)라 부른다. 반면 양자역학은 많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이론적
틀
을 갖추었기 때문에 어느 한 시점과 사람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양자역학의 출발점을 1900년 12월의 막스 플랑크로 잡는다. 이때 플랑크는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로 알려진 현상을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국공립 대학들은 공동으로 교과목을 개발해볼 수도 있고, 사립대학이라면 건학 이념의
틀
안에서 다양성과 인권 감수성에 대한 자체 교과목을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정규 과목을 통해 국내 지역간의 분열, 세대간의 분열, 여성과 남성의 분열, 진보와 보수의 분열, 종교간의 분열에 대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