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햇빛
햇살
뉴스
"
태양광선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빛으로 물 깨끗하게~
2014.10.26
국내 연구진이 태양빛을 이용해서 수질을 정화하는 광촉매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물성과학연구부 박사팀과 이영석 충남대 정밀응용화학과 교수팀은 오염물질 정화 효율을 높이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이산화티타늄(TiO2) 광촉매 재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교신저자인 이종협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유성주 연구원 - 서울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에 햇빛만 비추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이종협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가시광선으로 물에서 수소를 기존보다 74배 높은 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기존 LED(왼쪽)와 유리 투명전극을 적용한 LED의 밝기 비교. 신기술을 이용한 LED가 균일하게 더 밝게 빛난다. -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리와 같은 부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이용해 차세대 조명과 광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 ... ...
엇, 추워! 지구 북극만큼 차가운 갈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14.04.28
갈색왜성의 상상도. - Robert Hurt/JPL, Janella Williams/Penn State University 제공 태양계 근처에서 갈색왜성이 새로 발견됐다. 갈색왜성의 이름은 'WISE J085510.83-071442.5'. 갈색왜성은 원래 별이 되기 위해 태어났지만, 빛을 낼 수 있는 에너지가 부족해 결국 별이 되지 못한 천체다. 그래서 갈색왜성은 '실패한 ... ...
와이퍼 없는 자동차 유리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20
각종 도료나 화장품 재료, 색소 등으로 자주 쓰이는 ‘이산화티타늄’이 최근 김서림 방지 제품 용도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 물질은 빛을 흡수하면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넓게 퍼져나가는 ‘초친수성(超親水性·물과 굉장히 친한 성질)’이 생기기 때문. 하지만 이산화티타늄이 왜 이런 성 ... ...
이게 바로 무인기의 세계
과학동아
l
2014.04.04
최근 잇따라 서해 백령도와 경기 파주시에서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발견되면서 무인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무인기는 2000년대 초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위력을 발휘하며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해졌다. 정찰이나 정밀한 타깃 공격 등 군용뿐만 아니라 재난재해 감시, 테 ... ...
명화(名畵)는 대기오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3.30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의 천재 예술가이자 사상가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어떤 음식을 즐겨 먹었을까. 최근 시청한 TV 프로그램을 통해 ‘민물장어’도 그중 하나란 사실을 알게 됐다. 다빈치의 대표작 ‘최후의 만찬’ 속 식탁에는 와인과 빵 그리고 네 조각으로 잘린 민물장어가 놓여있 ... ...
버려지는 태양광에너지까지 잡아 발전량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한승우 박사와 태양광-태양열 융합발전시스템 장치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태양전지에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추가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한승우 박사팀은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사용되지 않 ... ...
지구온난화 알고보니 2세기 전 산업혁명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네이처 제공 생태계에서 가장 오래 사는 동물은 뭘까. 거북이와 학, 사슴 등 전통적으로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들보다 더 오래 사는 동물은 바로 산호. 강장과 입이 있는 산호충들이 모인 군체인 산호는 길게는 천 년을 넘게 산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산호 중 특히 수명이 길어 수 ... ...
산업용 필수물질 아닐린, 저렴하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고 논문에서 밝혔다.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는 “
태양광선
중 50%에 이르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려면 밴드 갭이 1~2전자볼트 정도여야 하는데, 이번 연구로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의 밴드갭을 1.39전자볼트까지 낮췄다”라며 “아직까지는 페로브스카이트 ... ...
이전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