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2,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포도당 선택적으로 인식…식욕조절 새 패러다임 제시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KAIST 연구팀이 뇌가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KAIST 연구팀이 뇌가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 학술지 ‘뉴런(Neuron)’에 6월 20일 온라인 게재됐다. -https://doi.org/10.1016/j.neuron.2025.05.024) ... ...
리튬이온보다 저장용량 5배 리튬황배터리 약점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지르코늄 원자 제어 도핑으로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촉매 흡착 에너지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황배터리의 음극 촉매를 개선해 안정성과 수명 난제를 해결했다.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배터리공학과 교수와 지준혁 화학공 ... ...
양자컴 초전도 큐비트 최장 시간 안정 유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결맞음 시간이 긴 초전도 방식(트랜스몬) 큐비트로 만든 양자프로세서를 표현한 그림. Alexandr Kakinen 제공 미래 전략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터를 상용화하려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의 수를 늘려야 한다. 동시에 각 큐비트가 양자상태를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하도록 해야 한 ... ...
세포핵 영상 AI가 판독해 실시간 노화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고해상도 영상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세포가 늙어가는 과정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해상도 영상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세포가 늙어가는 과정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따라갈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세포가 얼마나 ... ...
"쉬는 거 아닙니다"…물속에서 호버링하는 물고기, 에너지 2배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캘리포니아 남부 산 클레멘테섬 인근 바닷속에서 헤엄치는 가리발디 물고기. Phil Zerofski/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제공 물고기가 물속에서 위치를 유지하며 떠 있기 위해 휴식할 때보다 에너지를 약 2배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몸이 기울거나 떠내려가지 않도록 지느러미를 끊임없이 움직여야 ... ...
류마티스 등 자가면역질환자 희소식…자연살해세포 치료 기대감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자연살해(NK)세포의 모습. 위키미디어 NIAID 제공. 자가면역질환 차세대 치료제로 꼽히는 키메릭항원수용체-T(CAR-T) 세포치료제보다 저렴하면서 효과적인 치료제로 자연살해(NK)세포를 이용한 치료제가 떠오르고 있다. NK세포는 암세포, 바이러스 감염 세포 등을 인식해 공 ... ...
“얼음 속에서 광물이 자란다”…결빙 중 화학 반응 첫 실험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물의 결빙 과정에서 능망간석이 자라는 과정. 한국연구재단 제공 물의 결빙 과정에서 새로운 광물이 형성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얼음 내부에서도 특정 조건에선 고유한 광물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은 이기현 ... ...
메타버스 세계에서 잔잔한 물결까지 감지하는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방창현 성균관대 교수, 양태헌 건국대 교수, 조광현 한양대에리카 교수, 황귀원·손지훈 성균관대 석박통합과정생. 성균관대 제공. 부드러운 촉감과 신축성으로 현실감 있는 촉각을 전달할 수 있는 소자가 개발됐다. 메타버스 환경이나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 ...
빛과 전자 초고속 상호작용 첫 확인…대면적 광전자 소자 개발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왼쪽부터 최인혁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연구원, 이종석 교수. GIST 제공 한미 공동연구팀이 금속 산화물 박막에서 원자층 두께를 조절해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인 편광 방향에 따라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특성인 '이방성'을 구현·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기존 물질에서 ... ...
"인간의 가부장 문화, 과거 영장류부터 이어졌다는 주장 틀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차크마개코원숭이(학명 Papio ursinus) 무리. 수컷(가장 왼쪽 개체)이 암컷보다 몸집이 약 2배 크다. 집단 내 권력은 수컷이 우위를 나타낸다. Elise Huchard 제공 인간의 가부장 문화가 과거 원숭이 등 영장류 집단에서 나타나는 수컷의 권력 우위에서 이어졌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실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