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이 찍은 갯벌사진으로 낙지 자원량 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위 낙지의 숨구멍을 뜻하는 ‘낙지부럿’을 찍기 위해서다. 사진을 이용해 낙지 정밀
지형
도를 만들어 인공지능(AI)에 입력하면 이 일대 낙지 자원량이 추산된다. 어민들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앱으로 낙지가 많이 있는 위치를 알아내 갯벌로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전남 신안군, ... ...
[프리미엄 리포트] 북한에서 특별대우 받는 과학자들...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
과학동아
l
2021.12.11
용량의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풍력 발전소를 이용한다. 북한은 태백산맥 등 산악
지형
이 많아 풍력발전에 유리하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발전량에 비해 생산단가가 높아 아직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수력발전은 금야강2호발전소 등 중소형 발전소(소수력발전소)를 짓는 추세다. 전기 ... ...
확장하는 우주경제,어떻게 역동적 생태계 만들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스페이스엔젤스의 채드 앤더슨 매니징 파트너는 “코로나19가 가져온 우주산업의
지형
변화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데니스 스톤 미국항공우주국(NASA) LEO프로그램 사무소 프로젝트 책임자가 지구저궤도(LEO)에서 진행되는 기업들의 영리 행위를 지원하는 미국 정부의 지원계획을, 일본의 ... ...
2024년 취역 해저탐사선 '탐해3호' 설계 마치고 본격적인 건조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시스템은 해수면 위에 긴 줄 모양의 스트리머를 일정 간격으로 띄워 음파를 보낸 뒤 해저
지형
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것을 감지하는 장비다. 3D 해저구조도와 밀도, 물성 등 물리적 성질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기본 자료수집에 쓰인다. 3호에는 2호보다 4배 넓은 면적을 깊고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6km ... ...
[표지로 읽는 과학]북미 몬순은 산맥의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7
지구 기후 모델 통합, 열역학적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했다”며 “몬순을 이해하는데
지형
의 영향을 향후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 ...
화성 '지질학자' 인사이트 지진계로 드러난 붉은행성 '속살'
연합뉴스
l
2021.11.26
엘리시움 평원에 착륙해 지진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화성 궤도선이 공중에서 촬영한
지형
자료를 토대로 지층 구조를 예측했는데, 화산활동에 따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은 예상과 일치했으나 현무암층 사이에 퇴적암층이 존재하고 암석들이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은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첨단기술이 무기 패러다임 바꾼다
2021.11.26
도심항공모빌리티(UAM)도 주목받고 있다. 도응주 교육사 전투발전2차장은 “한반도
지형
은 산에 의해 분산도가 높아 날아 움직이는 게 유리해 UAM이 주목받고 있다”며 “군수에서 적은 양을 빠르게 수송하거나 전장에서 다친 병사를 후송하는 의무용으로 활용하는 데 우선 적용할 수 있다고 보고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육군 "UAM 한반도 도시지역 작전서 유용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지형
은 소구획성 회랑형
지형
이라고 해서 상당히 분산도가 높아 날아 움직이는게 유리한
지형
”이라며 “지상군은 항상 날고 싶어한다”고 소개했다. 헬기와 대형 수송기들에 이어 현재는 UAM을 비롯한 무인항공기(UAV)가 새로운 전력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각국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38억년 전 화성, 홍수 흔적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07
분석됐다. 또한 남서쪽에 있는 코디악 언덕 역시 강물이 흘러들며 퇴적물이 쌓인
지형
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퍼서비어런스가 찍은 영상 속 암석의 크기와 퇴적층을 분석해 이곳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코디악 언덕의 상층부에서 크레이터에서 잘 발견되지 않는 ... ...
기후변화로 ‘아픈’ 지구의 미래 결정하는 COP26 이틀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가속화할 수 있어서다. 최근 영구동토층 기온은 올라가고 있고 녹아 늪처럼 변한
지형
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사진은 시베리아 북서부 야말 지역에 형성된 영구동토층의 2018년 8월 모습을 촬영한 위성 영상이다. 유럽우주국 제공 기후변화 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는 지구의 미래를 결정할 역사적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