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터
쎈타
쎈터
지점
시설[지구]
상점가
뉴스
"
중심부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떨어지는 ‘초고에너지 우주선’ 기원은 거대질량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M87)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쪽이 은하의 확대 모습이다. 이곳
중심부
에는 거대질량블랙홀이 있는데, 이것이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으로 추정된다. -사진제공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성공했다. 이 중성미자는 약 350조㎞ 떨어진 TXS 0506+056이라는 블레이자였다. 블레이자는
중심부
에 태양 질량보다 수백만 배 큰 거대 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는 은하핵으로, 이 블랙홀의 중력이 회전하는 주변 기체를 가열시켜 빛을 내고 빠른 속도로 입자들을 뿜어낸다. 연구팀은 지구를 간혹 찾아오는 ...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어두운 하늘의 별빛이 도진의 눈에 박힌다. “은하의 관점에서 본다면 별이란 은하의
중심부
를 흐르는 물과 같아서, 흐르는 물질의 운동을 표현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그 움직임의 비밀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니까 수학자들은, 이 바보 같은 천재들은 우주선 따위는 필요 없이 오직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514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레이저를 쐈다. 그러자 유리 입자들이 레이저의 축(
중심부
)으로 끌려가면서 빛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했다. 입자들은 물이 담긴 수조의 벽면에 부딪칠 때까지 계속 움직였고, 애슈킨 연구원이 레이저를 끄자 다시 자유롭게 흩어졌다. 추가 실험에서는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france) 등을 중심으로 협력한다. 비교적 협력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한국(south korea)은
중심부
에서 떨어져 있다. 한국의 경우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논문 5091편 중 약 5.3%인 271편에만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반면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은 수상자들의 연구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 ...
반기문 “국제사회 과학기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출발하는 게 과학기술”이라고 덧붙였다. 반 전 총장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부
에서 최근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일하는 방식, 사고방식이 계속해서 바뀌고 불확실성과 위험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동시에 아직도 세계 인구의 10%가 하루 1.9달러 이하의 ... ...
초승달 아래 토성이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6분이다. 토성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행성이다. 이날 초승달과 토성은 은하계
중심부
에 있는 궁수자리 우측, 희미하게 보이는 여름철 별자리인 방패자리 아래에서 동시에 관측될 것으로 보인다. 금주에는 황소자리 유성군에서 유성우가 떨어질 예정이다. 유성우는 혜성에서 흩어져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별들은 대부분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갖고 있었다”며 “반면 2MASS J18082002–5104378 B는
중심부
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에 가깝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별의 수명에 대한 새로운 단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론 예측에 따르면 작은 별들은 최대 ... ...
중심에 거대질량블랙홀 2개 가진 은하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틴 크라우스 영국 허트포드셔 천문학과 교수팀은 은하
중심부
에 두 개의 거대질량블랙홀이 서로 돌 때 보이는 특유의 현상을 발견하는 데 성공해 천문학 국제학술지 ‘영국왕립천문학회 월례회보’에 2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에 위치한 군집형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압력이 더 세다. 그래서 공 모양의 물체는 ‘압력구배힘’이라는 물리현상에 따라 점점
중심부
로 끌려 들어왔다. 결국 레이저 빔을 쏜 뒤 렌즈로 초점을 맞춰 물체를 가두는데 성공했다. 빛으로 공간상에서 물체를 고정할 수 있었다. 이 원리를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례가 있다. 헤어드라이기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