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곽
실루엣
뉴스
"
전체모양
"(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알, 다 딱딱했던 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몽골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의 태아 화석이다. 태아의 뼈 주변을 부드러운 막이 둘러싸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자연사박물관 제공 영화 '쥬라기 공원' 같은 공룡을 그린 영화를 보면 공룡의 딱딱한 알이 쩍쩍 갈라지며 새끼 공룡이 튀어나오는 장면들이 나온다. 영화에서 공룡의 알은 ... ...
[팩트체크]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0.06.13
플라스틱 포장. 그린 얼라이언스 제공. 플라스틱은 19세기 대량으로 생산되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고분자화합물입니다. 이제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꼽힐 만큼 사용량이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국제환경법센터(CIEL)는 2019년 연례보고서에서 전 세계 연간 플라스틱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앉아있는 시간이 많다. 특히 이론물리학자나 수학자의 경우 대체로 몸보다는 뇌를 더 많이 움직인다. 이론물리학자인 필자의 뱃살도 날마다 늘어가는 느낌이다. 2002년 개봉한 미국 수학자 존 내시의 삶을 다룬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보고 그의 천재성과 고뇌보다 배우의 ... ...
벼 노화 늦추는 유전자 알아내 수확량 7%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이시철 연구위원.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벼가 노화되는 속도를 조절해 수확량을 늘리는 방법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식물 노화·수명연구단 연구팀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벼의 노화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14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독특한 모양의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이중 나선과 비슷한 모습으로 줄지어 이동하는 사람들 아래 칠해진 하얀 횡단보도의 선이 마치 DNA 구조를 연상케 한다. 네이처는 지금까지의 유전자 지도 중 가장 큰 규모인 14만 1456 ... ...
코로나19로 1만명 이상 숨진 나라만 6개국…中에서 美·EU 거쳐 러·인도·남미 '강타'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대시보드. WHO제공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이 460만명을 넘어섰다. 지금까지 사망자도 31만명이 넘는다. 러시아와 중남미, 중동,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루 8만~10만명의 신규 확진 환자가 발생하고 획기적인 차단책이 나오 ... ...
[프리미엄 리포트] "원숭이에게 코로나19 DNA 백신 시험 중"
과학동아
l
2020.05.01
(좌) 제넥신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이 대장균의 배양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이 대장균에는 코로나19 백신을 만들기 위한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가 삽입돼 있다. (우) 연구원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가 포함된 플라스미드를 정제하고 있다. 이병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비의 혈액순환론
2020.04.30
'이탈리아 베네토주 파도바에 위치한 파도바대학의 강의실 'Aula Magna'. 위키피디아 제공 《파브리카》를 쓴 베살리우스보다 3년 늦게 파리대학에 입학한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에스파냐 출신이었다. 베살리우스와 친구이기도 했던 그는 의사이자 신학자였다. 1553년 《그리스도교의 회복》이라는 책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 수상작인 거대 우주 오징어 (장승혁). 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 OU4는 오징어 성운이라는 재미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푸른 오징어가 헤엄치는 듯한 모습이며, 주변의 붉은 성운은 나는 박쥐 성운으로 알려진 Sh2-129이다. 천문연 제공 가을철 북극 근처에서 보이 ... ...
핵융합 시대를 여는 한국 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8
전 세계가 태양과 같이 수소를 핵융합시켜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를 만드는 ‘핵융합발전’ 기술 연구에 뛰어들고 있다. 한국의 핵융합로가 태양 중심부 온도인 1500만 도보다 6배 높은 1억도 유지 기록을 최대 8초로 갈아치우며 기술을 이끄는 가운데 한국의 기업들 또한 높은 기술력으로 세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