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자료
참조자료
전거자료
관련자료
뉴스
"
인용자료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바른미래당 과기계 공공기관 친文 인사 지적 곳곳 허점…기관장 임기 못채운 기관 정작 빠지고, 당연직·전정부 선출 사례 뽑아 바른미래당이 지난 4일 ‘공공기관 친문 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을 발표한 것을 두고 과학계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 ...
이번엔 여왕개미까지...인천항에서 또 붉은불개미 군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7
인천항에서 붉은불개미가 또 발견됐다. 이번엔 국내 처음으로 여왕개미까지 함께 발견돼 주목된다. 7일 농림축산검역본부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6일 인천항 인천컨테이너터미널 야적장에서 붉은불개미가 70여 마리 발견됐고 이후 조사 과정에서 추가로 붉은불개미가 발견됐다. 최초 발견 현장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04.27
※편집자주. 11년 만에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졌다. ‘2018 남북정상회담’의 표어는 ‘평화, 새로운 시작’으로 정해졌다. 어렵게 찾아온 대화의 기회가 평화의 시작이 되기를 기원하는 바람에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평창동계올림픽 직후인 지난 3월 각 분야 과학기술인들을 모아 머리를 맞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편집자주. 9월 18일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평양에서 다시 만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평창동계올림픽 직후인 지난 3월 각 분야 과학기술인들을 모아 머리를 맞댔다. 화해모드에 들어선 남북이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과학동아 5월호에서는 그 중 현실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실을 뭉개는 가짜뉴스가 판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3.10
사이언스 제공 붉은 빛 무리가 압도하는 가운데 초록색 빛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3월 둘째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빛 무리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걸까? '어떻게 거짓이 유통되는가(How lies spread)'라는 제목과 연관지어 보면, 이번 표지는 거짓(붉은색)이 진실(초록색)을 제압한 뒤 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개의 가축화와 초기 쓸모(가축화 이유)라는 주제는 고고학연구에서 길고도 복잡한 역사가 있다. - 마리아 구아그닌 등, 지난해 11월 16일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사이트의에 공개된 한 논문 지난주 금요일 ‘동아일보’ 과학면에 실린 ‘올해 무술년은 황금개의 해가 아닌 황금늑대의 해일수도... ... ...
[사이언스 지식IN] 외래 붉은불개미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추석 연휴로 한적했던 열흘 동안 한국에서 가장 분주했던 곳은 단연 부산이었다.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지난달 28일 발견된 1000여 마리의 외래 붉은불개미(Red imported fire ant)가 국내로 빠르게 확산됐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10일, "감만부두에서 발견된 붉 ... ...
[윤신영의 마이너리티 리포트-2] “얽매이지 않고, 머물지 않는다” 과학기술정책 팟캐스트 ‘과정남’ 인터뷰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과학과 기술을 다루는 글은 대개 화려합니다. 새로운 발견과 개발을 주도한 학자의 이야기는 언뜻 영웅 서사를 연상하게도 하지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뤄지지 않고 묻히는 과학이나 사람 이야기는 없을까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과학 주변부를 살펴봅니다. 두 청년은 꿈이 야무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객성(客星)이 처음에 미성(尾星)의 둘째 별과 셋째 별 사이에 나타났는데, 셋째 별에 가깝기가 반 자 간격쯤 되었다. 무릇 14일 동안이나 나타났다. - ‘세종실록’ 세종 19년 2월 5일 (1437년 3월 11일) 예전에 책(잡지)인가 TV인가에서 인상적인 인터뷰를 봤다. 1970년대 서방 기자로는 처음 북한 땅을 밟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고온다습(高溫多濕). 아무 거나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사자성어 하나를 말하라면 이런 엉뚱한 답을 할 것만 같은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작년처럼 간다면 앞으로 한 달은 이런 날씨를 견뎌야 하는데 걱정이다. 매인 곳이 없는 프리랜서라는 이점을 살려 8월에는 ‘홋카이도(北海道) 한달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