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8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3분의 2의 모습과 닮았다"면서 많은 물고기가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처럼 소리의 방향을
알
아차릴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앞으로 구체적으로 물속에서 소리가 날 때 어떤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⑧ "육아는 사회 전체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편이다. 그럼에도 이 정도로 예민해진다는 점에 놀랐다. 육아휴직을 하지 않았다면 평생
알
수가 없었을 거다." Q. 육아휴직을 쓴다고 할 때 주변 반응은 어땠는지. "다른 동료들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기 때문에 걱정이 되긴 했지만 분위기와 공감대 형성이 잘 됐다. 자녀가 이미 큰 분들은 '애들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직업 안정성'도 의대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다.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교육부의
알
리미 공시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의대 진학이 금지된 전국 7개 영재학교와 20개 과학고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모두 303명이나 된다. KAIST를 비롯한 4대 과학기술원에서 2019년 이후 ... ...
[사이언스게시판] 지질연, 바닷속 해저 지명 우리말로 전 세계에
알
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해저지명의 등재가 활발해진 것은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위상을
알
수 있는 성과로 큰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 극지연구소는 쇄빙연구선을 운항할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아라온호 현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에는 해양 분야 전문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동안 줄어든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된 혈액을 섭취하면 성숙한
알
이 발달할 때까지 NPF가 하향 조절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자 조작으로 암컷 모기의 NPF 유전자를 제거하자 인간에 대한 유인력이 감소했다. 다시 NPF를 주입하자 모기는 인간에 끌리는 경향을 보였다. 또 ... ...
"美 젖소·사람 감염시킨 조류독감, 호흡기 전파는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6.30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 최신 변종 바이러스가 호흡기 질환처럼 작동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리히트 교수는 "앞으로 이 바이러스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전했다. ... ...
범죄 동영상 분석…인공지능은 최고의 동료이자 최악의 적
과학동아
l
2024.06.29
죄를 밝혔을 때 특히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감정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매번
알
수는 없거든요. 결과가 실제로 법정에서 도움이 된다는 말을 전해주시면 감사하더라고요." 이미지 개선을 통해 물체를 분간할 수 없는 야간영상(위)을 식별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었다. 선박에서 해경 헬기를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중개 연구 방법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사람은 자신의 심리와 증상을 직접
알
려줄 수 있지만 직접적인 신경 조작이나 측정이 어렵지만 쥐는 신경 조작과 측정이 가능하지만 직접적인 심리를 측정할 수 없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그 특성과 한계점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잘 이용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것이다. 실제 이 기간 유적지의 왕겨 식물석도 많아져 식량에서 쌀의 비중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는 동아시아인이 쌀을 식량으로 이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노란색)로 양쯔강 하류 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아지자 약 2만4000년 전부터 야생 벼의 씨앗, 즉 쌀을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검출되는 등 만물의 구성원리를 밝히기 위한 중요한 단서지만 오랫동안 실체를
알
수 없었다. 우주를 설명하는 현대물리학 이론인 표준모형 모델은 중성미자가 질량을 갖지 않는다는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번에 고에너지 중성미자를 발견한 장비는 ARCA의 '큐빅킬로미터중성미자망원경(KM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