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원
뉴스
"
병원미생물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들은 각각 고유한 미생물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서울 강남역 인근.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6년 6월의 어느 날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에 면봉을 손에 든 사람들이 나타났다. 강남역은 한국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 중 하나다. 이들은 난간부터 의자, 광고판, 쓰레기통에 이르기까지 곳곳을 면봉으로 문지른 뒤 사라졌다. 비슷한 시기 서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폐렴 등 여러 이유로 폐활량이 크게 떨어져 자발적 호흡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는 환자들이 인공호흡기 덕분에 목숨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으로 환자가 급증하면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회복 뒤 폐 기능 저하 등 여러 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르네 듀보스는 최초의 항생제를 발견한 미생물학자이자,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성찰했던 과학지식인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플레밍을 기억할 뿐, 듀보스를 기억하지 않는다. 록펠러재단제공 “1989년 10월 23일 뉴욕 맨해턴 이스트 사이드에 자리한 미국 록펠러대에서는 그라미시딘 발견 50주년을 기 ... ...
"에이즈 바이러스, 병원성 점점 약해지고 있다" 국내 환자 30년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5.02
미국국립보건원이 3D그래픽으로 표현한 에이즈 유발 HIV. 위키미디어 제공.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유발하는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유전자가 길어지면서 감염을 통해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인 '병원성'이 약해졌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30년간 에이즈 환자 62명을 추적해 ... ...
韓-美-日에 네덜란드까지 가세…‘미니 장기’ 오가노이드 치료제 시장 먼저 잡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배아줄기세포로 배양한 피부 및 모근 오가노이드.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제공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연구진은 지난 16일 국제학술지 ‘셀스템셀’에 사람의 눈처럼 눈물을 흘리는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사상 처음 공개했다. 오가노이드는 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인체 장기와 유사하게 만든 일종 ... ...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병원성 미생물은 인류의 건강한 삶을 위협한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세균)가 대표적인 사례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병원성 세균에 의한 식중독이 심각한 사회 문제다. 전상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이름 그대로 지능형 물질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한림대의료원, 일송탄생 100주년 캘리그라피 공모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한림대의료원 제공 ■한림대의료원은 10일 학교법인일송학원 설립자인 고 일송 윤덕선 탄생 100주년을 맞아 일송 어록 멋글씨(캘리그라피)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고 일송 윤덕선은 대한민국 1세대 의사로 1971년 한강 이남 지역 최초 민간종합병원인 한강성심병원과 1981년 신림종합복지관, 1982 ... ...
제22대 임상미생물학회장에 송원근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송원근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한림대의료원 제공 한림대의료원은 10일 송원근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가 제22대 대한임상미생물학회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2년 1월부터 1년 간이다. 대한임상미생물학회는 임상미생물학 발전과 국민보건향상을 ... ...
“돌연변이로 항원성 바뀌면 백신도 소용 없어”…변이 바이러스의 실체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국내 ABL3 연구시설, 고려대 의대 생물안전센터 박만성 교수 “돌연변이가 바이러스 항원성 바꿔” 1년간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만 수천 건 기자가 직접 레벨D 방호복을 착용하고 동물이용 생물안전 3등급(ABL3) 연구시설 내 실험을 시뮬레이션했다. 실험 장치는 바이러스의 공기 중 전파를 시험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생충과 건강수명
2021.02.09
어린 시절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돼야 면역계가 안정적으로 발달한다는 ‘위생 가설’은 그뒤 옛친구 가설로 다듬어졌다. 옛친구 가운데 기생충의 역할도 중요하다. PNAS 제공 가족부터 국가에 이르는 모든 사회 단위가 ‘공동의 적’을 두는 덕분에 존재할 수 있다. - 펠릭스 르 당텍 지난 가을 습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