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
면적
"(으)로 총 1,41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에 탐사 드론 띄워 지도 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때문에 비행 조종사와 과학자들이 탐사 과정에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남극 대륙의 넓은
면적
을 조사하려면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하다는 점도 지도 완성의 제약이 되고 있다. 영국남극조사국과 윈드레이서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도 남극 탐험을 할 수 있는 드론을 개발했다. 극한의 날씨와 ... ...
하와이 이어 칠레 삼킨 산불…소득 낮을수록 피해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의 50%는 산불에서 발생한다. 캘리포니아주
면적
의 약 68%는 2020년 산불 시즌 동안 폭염을 비롯해 유독성 대기에 노출돼 있었다. 향후 캘리포니아 내 폭염 빈도는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9년 사이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달 개체수 늘자 습지 침식 속도 느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3
근거는 그간 제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최상위 포식자인 해달의 개체 수가 염습지의
면적
증감과 관련됐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 나섰다. 10년에 걸쳐 13개의 염습지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하구 주변 5곳에서 소규모 실험도 진행했다. 항공사진까지 활용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달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연구팀은 설탕과 탄성중합체를 녹이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마찰전기 섬유의 마찰 표
면적
을 증가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켰다. 땀 전지 섬유에는 이온 소금과 얇은 고분자 필름인 ‘파릴렌-C’를 코팅해 발전 성능을 향상하고 비대칭 습윤성을 유지하도록 했다. 두 섬유를 직조방식으로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후속연구는 로봇 분야 학술회의(IEEE RA-L)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김 교수는 “대
면적
로봇 피부를 개발해 인간과 로봇이 같은 공간에서 공존할 수 있는 필수 기술을 마련하고 인간의 피부 감각과 촉각 성능을 구현했다”며 “앞으로 인간형 로봇의 외피에 적용할 수 있는 로봇 피부 및 촉각 ... ...
[잠깐과학] 흔들면 열나는 핫팩 속 물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7
발생하는 것을 느끼기 어렵지만 손난로 속에 든 철은 가루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
면적
이 넓어 조금만 흔들어도 빨리 산화됩니다. 그 과정에서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죠. 한번 산화된 철은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으므로 이미 사용한 핫팩을 다시 쓰진 못합니다. 핫팩에는 철 외에도 탄소 ... ...
작은 공룡들이 사냥에 활용한 '이것'…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때 더 쉽게 놀라 풀숲에서 뛰쳐나왔다. 깃털이 검은색일 때보다 흰색일 때, 깃털의
면적
이 좁을 때보다 넓을 때 더 자주 도망쳤다.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해 관찰한 실험에서도 메뚜기는 깃털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깃털이 없는 꼬리를 위협했을 때보다 깃털 꼬리를 사용했을 때 신경세포의 ... ...
극한 환경에도 작동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저항 변화 메모리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액상 공정 기술’은 큰
면적
에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온도에서만 작동할뿐더러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액상 공정에 ‘연소 합성 기술’을 ... ...
남극해 ‘짠물’ 생성 과정, 첫 정밀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수송량의 5배에 달한다. 연구팀은 관측 결과와 인공위성에서 얻은 바다 얼음의
면적
변화를 분석해 남극 테라노바만에서 고염대륙붕수가 생성된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10년간(2012~2021년) 2배 이상 늘어났다는 점이 확인됐다. 2015년부터 생성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원상 책임연구원은 ... ...
토마토, 파프리카 구분…AI 로봇, 혼자 모종 옮겨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대규모 시설재배 농가는 2012년 728개에서 2022년 850개로 오히려 17% 증가했다. 시설재배
면적
이 넓으면 인력이 더 많이 필요한데 최근에는 로봇을 도입하는 추세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로봇팔과 자율주행 이동체로 구성된다. 한쪽 로봇 팔은 모판에서 모종을 뽑아내고 다른 팔은 재배용 배지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