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수"(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이름 정리] '맥너겟 수'는 어디서 온 걸까?수학동아 l2018.05.11
- 피치오토는 맥너겟 수를 떠올려 매장에 있던 냅킨에 바로 계산했고, 이 결과를 그가 쓴 대수학 책에 소개했습니다. 6, 9, 20은 공약수가 1뿐인 서로소이기 때문에, 충분히 큰 어떤 수는 이 세 수의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2, 3, 4, 5, 7, 8, 10, 11, 13, 14, 16, 17, 19, 22, 23, 25, 28, 31, 34, 37, 43을 ... ...
- [2018년 필즈상] 환호와 충격 안긴 연구로 후보에 오른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 수학동아 l2018.04.12
- 대상을 센 것이라고 추측하기 때문에 윌리엄슨 교수의 연구는 표현론을 넘어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습니다. 카즈단-루스즈티그 다항식은 성질이 좋아 여러 분야에서 등장하거든요. ● 인생 문제 만나 수학자된 문학도 윌리엄슨 교수에게 카즈단-루스즈티그 양수 ... ...
- 어느 수학 교실에서 만점자가 급증한 비결은?동아사이언스 l2018.03.19
- 수학 교사인 제이미 요르겐슨은 수학을 가르칠 때 노래와 춤을 동원합니다. 대수학이나 기하학, 알고리즘에 이르기까지 요르겐슨이 노래로 만들지 못하는 수학공식은 없습니다. 이 수업을 보고 있으면 ‘정말 이렇게 해서 수학 공부가 될까?’ 싶지만 실제로 요르겐슨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수학 ... ...
- [2018년 필즈상]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라이징 스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8.03.15
- 바로 가면 이 성질을 만족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허 박사가 조합론에서 대수기하학으로 가도 여러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보이면서 로타 추측을 해결한 것이지요. 허 박사의 석사 과정 지도 교수인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석사 과정 때 해결한 문제에 썼던 도구를 ... ...
- 우버는 왜 자율주행차를 연구할까2018.03.09
- 달렸습니다. 그런데 12월에 불과 4달 정도만에 이 수치를 2백만 마일로 늘렸습니다. 차량 대수가 늘어났고, 자율 주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시간적, 환경적 제약이 사라지면서 그 수치가 빠르게 늘어나는 셈입니다. 차량 위에는 7대의 고해상도 카메라와 라이다가 달려 있다. - 최호섭 제공 우버의 ... ...
- [2018년 필즈상] 프랑스 여성수학자 소피모렐 교수 후보, 20년간 못푼 수학문제 해결수학동아 l2018.01.16
- 대응을 보였습니다. 분명 한국어인데, 무슨 말이지 모르겠지요? 시무라 다양체는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주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한데, 많은 수학자가 어려워 할 만큼 난이도가 높습니다. 그 중에서도 모렐 교수가 연구한 시무라 다양체는 매우 까다롭습니다. 거기에 너무 추상적이라 ... ...
- 알아두면 쓸데있는 고지방·고단백 식사법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인간관계에 집중하기로 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연말 몇일 정도 화끈하게 먹는게 뭐가 대수이겠는가? 하지만 두 가지 수칙을 지키면 배부르지 않게 그 자리를 끝까지 즐기면서 건강도 챙길 수 있다. 우선 식사 초반에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급하게 먹지 말아야 하고,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을 ... ...
-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11.27
- 그래프의 특성 방정식이 특정 부등식을 만족한다는 조합론 분야의 정리인데, 허 박사는 대수기하학의 도구로 문제를 해결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허 박사가 다음에 받을 상은 무엇일까요 ... ...
- 앨리스의 토끼 굴 속으로...앨리스展에서 인생샷 남겨보자!동아사이언스 l2017.10.05
- 그는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수학자다. 그는 기하학이나 대수와 같은 전통 수학 분야가 아닌 수학 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사용하는 언어유희나 수수께끼, 퍼즐이나 마술 트릭을 만드는 데 재능을 보였다. 덕분에 그의 작품에서도 ... ...
- 한국 고교생 대표단,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우승동아사이언스 l2017.07.23
- 받았다. IMO는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20세 미만 청소년들이 국가별로 최대 6명씩 출전해 대수, 기하, 정수론 등의 수학문제를 풀며 순위를 겨룬다. 올해 대회는 111개국 615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