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업
농경
영농
농예
농법
농사일
농산업
뉴스
"
농사
"(으)로 총 199건 검색되었습니다.
첼랴빈스크 유성 폭발 비밀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시점이 최소 1만8000~3만 년 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
가 아닌 수렵채집으로 생활할 때다. 연구진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하면서 고기를 얻어먹다가 야생의 습성을 버리고 가축화됐을 것"이라며 "사람들도 늑대를 곁에 두고 다른 사나운 포식동물들의 ... ...
선덕여왕의 총명함을 드러낸 세가지 예언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승용차로는 다소 어려운 길이다. 산행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 약 두 시간 정도 올라가면
농사
를 짓고 있는 북쪽의 부산성에 이른다. 부산성은 신라 효소왕 때 화랑 득오(得烏)가 죽지랑(竹旨郞)과의 우정을 그리워하며 모죽지랑가를 지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한적한 곳에 계곡물도 맑아 많은 ... ...
물러지기 쉬운 '복분자'를 보호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요즘 많은 농가들은 전통적인 논ㆍ밭
농사
이외에 특수작물이나 기능성 작물을 재배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문제는 오미자나 블루베리, 복분자 같은 기능성 과실들은 수확 후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쉽게 물러지고 상한다는 것. 농촌진흥청은 최근 이 같이 쉽게 물러지고 상하는 기능성 열매의 ... ...
논밭에 가지 않아도
농사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어떨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최근 구축한 디지털
농사
시스템 ‘u-FARM’은 첨단 기술을 이용해 논밭에 직접 가지 않고도 농작물을 관리하거나 우량종자도 선별할 수 있어 농업 기술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4일 KIST가 강릉에 ... ...
더운 여름 창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병해충에 강한 유전자를 잘 활용해 품종을 개발하면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농사
를 지을 수 있는 날이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약을 사용하면 병해충을 손쉽게 박멸할 수 있음에도 유전자를 활용해 병해충을 막으려는 연구가 이뤄지는 이유는 농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상상을 ... ...
숨 막히는 더위… “아버님 어머님! 대낮 외출 조심하세요”
동아일보
l
2013.08.12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 농촌에 사는 60대 이상 노인들이다. 무더위에도
농사
일을 챙기다 화를 입은 경우다. 11일 오후 2시 10분경 전북 남원시 대산면 한 정자 근처 밭에서 노모 씨(80·여)가 쓰러져 있는 것을 주민 장모 씨(50)가 발견해 신고했다. 노 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 ...
‘공공재’ 주파수 이용권만 판매… LTE용 1.8GHz대역 가장 인기
동아일보
l
2013.08.02
주파수가 따로 있는 건 아니다. 주파수의 특징과 장단점은 대역별로 다 다르기 때문에
농사
짓는 데 좋은 땅이 있고 건물 짓는 데 좋은 땅이 있듯 용도에 맞는 것을 쓰면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업계가 선호하는 주파수는 분명히 있다. 이번 경매에 나온 1.8GHz와 2.6GHz는 둘 다 세계적인 롱텀에볼루션(LTE) ... ...
제주도 땅속 짠물, 애물인줄 알았더니 보물
동아일보
l
2013.07.30
강 씨는 “다른 동네에서는 깨끗한 지하수가 나오는데 이곳에서는 짠물이 나와
농사
에 고초를 겪었는데 그 짠물의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새로운 보물을 찾은 느낌이다”고 말했다. 30만∼40만 년 전부터 제주도 지하에 묻혀 있는 용암해수가 빛을 보기 시작했다. 용암해수는 ... ...
내 몸에 필요한 질소, 공기 중에서 얻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식물은 공기 중에 포함된 질소를 직접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흙을 통해 흡수한다.
농사
를 지을 때 질소비료를 뿌려주는 이유다. 문제는 질소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토양과 물이 오염된다는 것. 이에 연구진은 콩이나 사탕수수 같은 식물의 경우 박테리아를 이용해 공기 중의 질소를 ... ...
제주도 특산 '흑우' 천연기념물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2
색을 띄는 제주흑우는 일반 소보다 크기는 작지만 체력과 지구력이 좋아 제주지역 밭
농사
에 많이 이용됐다. 특히 '조선왕조실록', '탐라순력도', '탐라기년' 등 옛 문헌에 따르면 제주흑우는 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제향품이나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품으로 엄격히 사육·관리됐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