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부에너지"(으)로 총 1,0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 체온·공장 배관에서 에너지 수확하는 섬유형 열전소자동아사이언스 l2024.10.21
- 왼쪽부터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박인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장한휘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생, 오민욱 한밭대 재료공학과 교수,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열전 소재의 오랜 난제였던 성능과 내구성 딜레마를 해결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 ...
- 화재에 강한 전고체전지…용량·안정성 개선 음극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0.21
- 기존 대비 높은 용량과 안정성을 확보한 전고체전지 음극재 관련 연구가 실린 국제학술지 '줄'의 표지.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대비 높은 용량과 안정성을 확보한 전고체전지 음극재를 제시했다. 에너지 분야 권위있는 학술지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 ...
- 불 나도 안 타는 배터리 나올까…배터리 화재 막는 기술 3과학동아 l2024.10.19
- 2023년 10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전기차 화재 진압을 시연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 화재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소방 인력과 소방수를 요한다. 연합뉴스 제공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도 활발하다. 배터리 ... ...
- "반도체 위기론, 지금 겪는 게 나아"…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투자동아사이언스 l2024.10.18
- 김지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한국과학기자협회 제공 "1등 기업을 10년 이상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금 타이밍에 한번 (문제 해결을) 하고 가는 게 20년 뒤에는 손해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5년 뒤에 겪는 것보다는 지금 겪는 게 조금 나을 것입니다." 18일 김지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 ... ...
- [과기원NOW] 초고층 빌딩서 영감 얻은 ‘금속-유기 골격체’ 外동아사이언스 l2024.10.17
- (왼쪽부터) 박다진·이정혜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연구원, 최원영 교수, 이수찬 연구원, 오현철 교수.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원영·오현철 화학과 교수팀이 초고층 빌딩 설계 원리를 적용해 혁신적인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MOF는 금속과 유기물이 ... ...
-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사실상 좌절…향후 소행성 탐사 계획은?동아사이언스 l2024.10.17
- 아포피스 탐사선의 상상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항공청이 주요 우주 임무로 제시한 '아포피스' 소행성 탐사 임무 추진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향후 한국이 새롭게 추진할 새로운 소행성 탐사 임무에 관심이 집중된다. 기존 아포피스와는 다른 유형의 소행성을 겨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 ...
- [과기원NOW] KAIST, 2024 IISWC '최우수 논문상','최우수 연구 기록물상' 동시 석권 外 동아사이언스 l2024.10.11
- 박종세 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 KAIST는 전산학부 박종세 교수 연구팀이 지난달 15일부터 17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2024 IEEE 국제 워크로드 특성화 심포지엄(IISWC 2024)’에서 최우수 논문상과 최우수 연구 기록물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은 ‘ ... ...
-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동아사이언스 l2024.10.10
- 10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아카데미'에서 김명섭 원자력연 하나로이용연구단장이 발표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자협회 제공 "양자컴퓨터 구현에 쓰이는 신물질 분석과 전고체배터리, 수소연료전지차를 개발하는 데도 연구용원자로에서 만든 중성자가 많 ...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4.10.10
- 국내에서 3D프린팅 기술로 우주의 극한 환경을 버틸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제1저자인 박하음 연구원(왼쪽)와 연구개발책임자인 박정민 선임연구원. 재료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3D프린팅 기술로 우주의 극한 환경을 버틸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드는 방법을 ... ...
-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동아사이언스 l2024.10.07
- KERI 연구팀이 마이크로파 유도 가열 제어 기술로 나트륨 이온 전지의 음극 소재인 '하드 카본'을 빠르게 제조하고 있다. KE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자레인지 원리를 활용해 차세대 이차전지인 나트륨(Na) 이온 전지의 음극을 30초 만에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김대호 나노융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