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44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가톨릭대-한국전기연구원, 의료기기 기술 공동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2000번째 로봇수술을 마쳤다고 31일 밝혔다. 2000번째 로봇수술을 받은 70대 직장암 3기 환자
김
씨는 수술을 무사히 마치고 퇴원을 위해 회복 중이다. 연세암병원 대장항문외과는 2006년 6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직장암 환자에게 로봇수술을 시행하고 1년여 만인 2007년에 직장암 로봇수술 100례를 ... ...
"나노유연소자로 패치 만들어 부정맥 환자 치료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있다. 현택환 IBS 나노물질 연구단 단장은 나노물질 자체를 합성하는 데 주력한다.
김
부연구단장은 "물질 합성을 잘 못해서 입자 크기가 들쭉날쭉하면 소자 수명이 짧아지고 효율도 나오지 않는다"며 "고성능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 물질 자체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 ...
[과기원NOW] UNIST 이규호 교수팀, 제25회 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개발한 모델은 복잡하고 큰 시스템에서 딥SCF 방법론의 유효성 및 효율성을 입증해 냈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적 전자구조 계산이 모든 스케일의 물성 시뮬레이션의 근간이 된다"며 "AI를 통한 물질 계산 가속화의 전반적인 기반 원리를 확립한 것"이라고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서준혁 ... ...
[과기원NOW] GIST, 수소 생산 위한 나노촉매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환경·에너지공학부 박사과정생이 1위로 선정돼 환경부장관상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김
박사과정생은 ‘현장 측정 기반 농촌지역 미세먼지 생성 원인 규명 연구’를 진행했다. 국내 권역별 대기환경연구소의 미세먼지 성분 측정 자료를 국내 미세먼지 생성 원인 규명에 활용했다. ■ ... ...
극저온에서 뭉치는 물 분자 움직임 최초 규명…냉동·에너지 분야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보존 기술 외에도 에너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플라즈모닉 나노칩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관찰 기술로 물 분자 고밀도 클러스터 형성 과정을 명확히 포착할 수 있었다"며 "연구결과가 동결 기술 및 물 에너지 효율성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보령, 밀라노서 세계 우주기업과 어깨 나란히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국제우주정거장(ISS) 이후의 우주정거장 운영은 IAC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주제이다.
김
대표는 향후 우주 산업의 성장 동력이 될 새로운 시장과 성장 방향성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고 액시엄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진행한 투자를 통해 우주 산업을 바라보는 관점과 미래 전망에 대해 답변했다. ... ...
"잘 읽고 있다, 멍!" 책 읽기 돕는 강아지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기반 행동 패턴에 따른 로봇 제어 통합 등을 통해 확장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소장은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을 위한 로봇 서비스가 성공적 시범 운영을 거쳐 앞으로 많은 공공도서관에 확산되기를 바란다”면서 “도서관에 단순히 책을 읽으러 가는 것이 아니라 친구와 함께 놀이하듯이 ... ...
프로게이머도 놀랐다…'리그오브레전드' 전략 추천 AI '롤GPT' 최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이러한 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향후 전 세계 프로구단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기존의 LoL AI 서비스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프로구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면서 "LoLGPT는 전문가를 뛰어넘는 통찰력을 제공해 e스포츠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 ...
"공룡, 날갯짓하며 달렸다"…진주 공룡 발자국 연구 세계적 학술지 표지 장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간직한 세계 최초의 보행렬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의 제2저자로 참여한
김
교수는 "한국에서 나온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조류 비행의 기원을 보여줄 수 있어서 뿌듯하다"고 말했다. 논문 교신저자인 마이클 피트먼 홍콩 중문대 교수는 “비록 보존된 발자국 길이가 착륙이나 이륙하는 ... ...
[사이언스게시판] 원자력연
김
찬중 박사, 초전도 기술 전문기업 (주)에스앰엘텍 창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책임연구원이 초전도 공중부양기술 전문기업 에스앰엘텍을 창업했다고 21일 밝혔다.
김
책임연구원은 30여년간 초전도 소재 분야를 연구해왔다. 초전도 소재를 단결정으로 제작하는 성장기술, 초전도체 내에 비(非) 초전도물질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공중부양력을 높이는 자기속박기술 등을 개발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