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포식"(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생취재상] 출동! 생물다양성(바이오블리츠) 탐사 대작전!기사 l20160703
- 산솔새, 동고비, 쇠박새, 매사촌, 흰배지빠귀가 있었다. 새는 주로 종족 번식 시기에 운다. 번식기가 지나서는 울지 않는다. 왜나면 포식자들에게 들통이 나서이다. 그런데도 새벽에 우는 이유는 여기가 내 영역이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또 지나가다가 오솔이 똥도 보았다. 야간 탐사 다음으로 재미있었던 조류 탐사였다. 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셀 수도 없이 많은 종들이 하루아침에 생겨났다고 한다. 특히 이 가운데에서 삼엽충만큼 유명하고 또한 대적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포식자였던 아노말로카리스(anomalocaris)의 유해일 수도 있다는 상상을 하면서 계속 쳐다봤다. 누가 뭐래도 이런 상상들이 화석탐사의 또다른 묘미일 것이다. 두 마리의 삼엽충이 가로세로로 엇갈려 있는 모습. 첨 ...
- 21조 닥터구리 탐사하다가 아주 큰 사마귀를 발견했어요. 멋진 몸매를 뽐내는 사나운 포식자탐사기록 l20151014
- 21조 닥터구리 탐사하다가 아주 큰 사마귀를 발견했어요. 멋진 몸매를 뽐내는 사나운 포식자랍니다. 풀속에 숨어서 먹아감를 기다리고 있나봐요. ...
- 우리들만의 문학 토론 목민심서 vs 군주론기사 l20150822
- 위해 쓴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먹이사슬 같은 세상에서는 정약용의 목민심서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초식동물이 많아야 최강 포식자도 살 수 있는데 백성은 없고 왕만 강하다면 그 왕도 결국 굶어죽게됩니다. 또 왕만 무겁다면 약한 백성은 받치고 서있지 못할 것입니다. 군주팀 : 정약용의 말처럼 백성을 위하여 복사하는 목민관만 있다면 전쟁같은 위기가 ...
- 10조 파워에너지팀 15.05.24 육지플라나리아~~라고합니다 머리가 T자형으로 지렁이를탐사기록 l20150525
- 10조 파워에너지팀 15.05.24 육지플라나리아~~라고합니다 머리가 T자형으로 지렁이를 잡아먹는 포식자라고해요 뭔지 몰라 궁금했는데~ 장이권교수님과 김현태선생님이 알려주셨어요 ...
- 2조생태노트팀 청개구리 150523-6 201구역에서 100미터 정도 떨어진곳 21:00탐사기록 l20150524
- 2조생태노트팀 청개구리 150523-6 201구역에서 100미터 정도 떨어진곳 21:00 멀리서 많이 들림 포식자인 새한마리가 날아다님 ...
- 이 물고기는 베타이고요. 다른 물고기랑 있으면 다 잡아먹는 포식자에요. 그래서 알을 낳기도포스팅 l20150325
- 이 물고기는 베타이고요. 다른 물고기랑 있으면 다 잡아먹는 포식자에요. 그래서 알을 낳기도 힘들어요.하지만 귀엽죠.^^ ...
- 북극곰에 관한 사실 북극곰의 비밀기사 l20150314
- 세상에서 가장 큰 육지 포식자입니다. 수컷은 약 2.6미터까지 자라고 무게가 800킬로그램까지 느갑니다.·캐나다, 노르웨이, 미국, 러시아, 그린랜드와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에서 볼 수 있습니다.·북그곰은 살아가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혼자 지내다가 번식기에만 모입니다.·북극곰은 30살까지 살 수 있으며 삶의 대부분을 잠을 자거나 꼼짝 않고 누워서 ...
- [특집] 최상위 포식자는 고양이?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1230
- 우리집에는 골칫덩어리가 하나 있어. 집과 밖을 오가는 자유로운 외출고양이 ‘우롱’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 한겨울이라 외출도 금지했건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몰래 도망쳐서 놀다 오는 거 있지? 아닌 척 시침을 떼지만 새카맣게 변한 발바닥이 그 증거라고! ...
- [동물은 왜?]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1114
- 잠자리는 가장 비행을 잘하는 곤충 중 하나예요. 제자리에서 정지비행을 하기도 하고, 뒤로도 날 수 있어요. 커다란 눈을 가지고 있어서 시력도 좋아요. 그래서 곤충 중에서 뛰어난 시각포식자로 손꼽힌답니다.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22호(2014년11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전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