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e10"(으)로 총 95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첫 번째 질문 머리·얼굴·뼈… 세포 하나가 ‘열일’?“척추동물에서 유일하게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s)의 존재다.” 영국의 발달생물학자 피터 토로굿이 남긴 유명한 말입니다. 신경능세포가 도대체 어떤 세포이기에 척추동물의 수많은 세포 가운데 가장 매력적인 세포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백신을 맞는 것은 공동체를 위한 선행이 될 수 있다. 나와 내 가족이 맞은 백신이 다른 사람을 지켜주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맞은 백신이 나와 내 가족을 지켜주기도 한다. 집단면역이 우리 모두를 지켜주는 생태계로 작용할 수 있다.‘집단면역(Herd Immunity)’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면역력을 가짐으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늘 아침에도 봤다. 하루라도 안 보면 보고 싶다. 더 오래 못 보면 미칠 것 같다. 미안하지만, 남편 이야기는 아니다. 차가운 도시 여자가 입에 담기엔 너무나 부끄러운 이야기, 바로 똥이다. 동물의 소화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최근 ‘똥구멍의 물리학’을 밝혀내 화제다.※ 편집자주: 식사 시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90여 년 전 한 무명 과학자가 신비로운 물리 현상을 예견했다. 극저온까지 냉각시키면 물질을 이루는 모든 입자가 양자역학적으로 동일한 상태가 되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다. 단순히 흥미로운 현상이라고만 여겼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가, 최근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종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생명공학연구부 박사와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사성 요오드가 잘 들러붙는 금 나노입자를 방사능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2017년 4월 7일 자정이 되자 페이스북 소녀시대 팬페이지에 태연 포스터가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포스터에 수상한 메모가 있습니다. 파, 라, 미…, 로 시작하는 짧은 악보입니다. 악보 밑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알파벳도 적혀 있어 팬들의 궁금증은 커져만 갔습니다.아! 혹시 태연 노래의 악보 아닐까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세계가 ‘가짜’ 때문에 비상이다. 작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는 데 가짜 뉴스가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팩트 체크’가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이유다. 문제는, 체크해야 할 데이터가 어마어마하다는 것. 방법은 있다. 기계한테 맡기면 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 7월부터 치약이나 세정제에 미세플라스틱 사용이 전면 금지된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전국 바다의 양식장에 스티로폼 알갱이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부표 보급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로봇을 활용하면 모든 행동을 신중하게 제어하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아동이 피해 사실을 진술하는 순간에도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죠. 무의식적인 반응을 내비쳐 수사가 한쪽으로 편향되는 걸 막을 수 있을 겁니다.”미국 미시시피주립대 컴퓨터과학및공학과 신디 베델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