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사"(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공동수상한 일본인 다나카 고이치에 대한 기사를 전해왔다. 박사도, 교수도 아닌 학사 출신의 기업 연구원이 마냥 겸연쩍어하며 작업복차림으로 기자회견장에 끌려나오듯 했다고. 다나카 연구원은 학문의 최고 정점에 있는 노벨상과 왠지 어울리지 않게 너무나도 ‘평범하기’ 때문에 더 큰 ... ...
- 로봇 툼 레이더과학동아 l2002년 10호
- 바젤 대학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길이가 다른 두 다리를 가진 굴곡유리관이 기둥 위에 받쳐진 형태이다 ...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과학동아 l2002년 10호
- 후 J 헤베리우스가 「미라(불가사의한 별)」라고 명명했다 전자의 파동성을 실증한 물리학사상 중요한 실험 컴퓨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데이터 단말기는 각종 입출력부와 컴퓨터 본체의 통신을 통제하는 단말통제부로 구성된다대표적인 것으로 ...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최신 유행의 분위기를 한마디로 ‘믹스’라고 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아름다움의 기준도 더이상 여성다움이나 남성다움, 부드 ... 읽다보면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가까이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당시의 과학사와 의학사, 그리고 생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책이다 ...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과학동아 l2002년 06호
- 베살리우스, 하비, 비샤, 비르효, 파스퇴르, 코흐 등 인물 연구가 주를 이뤘다. 한국의학사의 경우 허준에 관한 연구가 여기에 해당한다.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의학과 사회에 대한 관심이 새로 부각됐다. 여러 기관과 제도에 대한 연구가 잇달았다. 또한 사회 속에서 의료의 역할이 어떠했는가를 ... ...
- 파브르의 곤충기과학동아 l2002년 01호
- 후, 독학으로 대학입학자격시험(23세)과 수학과 물리학 독학사 학위(24세), 그리고 박물학 학사학위(31세)를 받았다.31세였던 1854년 그는 당시 곤충학자였던 레옹 뒤프르의 책을 읽고 곤충학을 향한 삶의 결정적인 계기를 맞게 됐다. 뒤프르의 논문을 감명 깊게 읽은 그는 이를 보충하기 위한 연구를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분야를 개척했는가, 둘째 실제적인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됐는가, 셋째 의학사나 과학사의 진로를 바꿨거나 심지어 사회 변화를 일으켰는가 라는 기준으로 베스트3을 선택했다.이 기준을 들이댔을 때 베스트1은 첫번째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베링(Emil Adolf von Behring, 1854-1917)이다. 그는 당시까지 ...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1983년 니덤연구소(Needham Research Institute)로 재출범했으며, 현재는 중국과 동아시아 과학사 연구의 세계적 중심이 되고 있다.니덤은‘중국의 과학과 문명’이외에도‘위대한 적정: 동양과 서양의 과학과 사회’(The Grand Titration: Science and Society in East and West, 1969),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수많은 조직을 새로 발견했으며, 1521년 발표한 저서에서 자신의 연구결과를 제시해 의학사가와 해부학자로부터 제대로 된 최초의 해부도라는 평가를 받았다.그러나 그의 발표보다 2년 앞서 사망한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해부도를 남겼다. 그도 시체를 해부해 인체에 있는 구멍의 부피를 측정했고 ...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전쟁기간 중 영국공군의 폭격사령부에서 근무하기도 한 그는 1945년 대학으로 돌아와서 학사과정을 마쳤다. 1947년 영연방 장학금을 받아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에서 핵물리학자 오펜하이머(J. R. Oppenheimer)와 2년간 함께 연구했다. 그 후 영국으로 돌아와 버밍엄 대학의 연구원을 거쳐 195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