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취약"(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프로토콜(SMB) 원격코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것이다. ‘이터널블루’라 불리는 이 취약점은 미국 국가안보국(NAS)이 밝혀낸 것으로, 4월 14일 해커 단체 ‘섀도우 브로커스’가 내용을 훔쳐 유출하면서 이를 악용한 워너크라이가 탄생했다. 더구나 워너크라이는 보통의 바이러스가 아니라 ...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랜섬웨어에 감염된 적이 있습니다. 섀도우 브로커스가 최근 아이폰에 탑재된 iOS의 취약점을 공개하기도 했죠. 결국 주기적인 백업만이 최선입니다. 이때도 조심해야 할 것이, 랜섬웨어가 암호화를 진행 중이라면 감염된 PC에 연결된 외장하드의 백업 파일들도 암호화될 수 있습니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요인이 가장 크다면, 현재의 치료 방침이 그렇듯, 선천적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의 취약한 장기를 암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수술로 제거할 수 있다. 할리우드 배우 안젤리나 졸리 덕에 유명해진 BRCA 유전자 돌연변이나, 대장암을 일으키는 APC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여기에 해당한다. 머지않은 미래에는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지문 인식,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뚫을 수 있었다.메몬 교수는 논문에서 “기기가 저장하는 부분 지문이 여러 개일수록 취약하다”며 “센서의 해상도가 향상되지 않으면 지문으로 스마트폰의 보안을 지킬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정보 포렌식 처리와 보안’ 4월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밀어 넘어뜨리게 하는 외력 모멘트의 합을 말한다. 두 값이 크면 상대적으로 바람에 취약한 건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연구팀이 나눈 7가지 건물의 형태는 ①기본적인 형태(직육면체, 원통 등) ②모서리가 변형된 형태(모서리가 둥글거나 톱니모양인 경우 등) ③건물이 기울여진 형태 ④상층부로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숲을 ‘솎아베기’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해충이 많이 생길수록 산불에 취약한 살아있는 식물, 즉 화재의 연료로 쓰이게 될 식물을 줄이게 된다”며 “특히 해충이 나뭇가지의 수평, 수직 분포를 바꾸므로 산불이 크게 번질 위험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케톤 교수는 “이번 연구를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뭄, 한파, 폭설, 폭염 등 다양한 이상 기후가 발생한다”며 “각각에 대한 위험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국가가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연구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 결과 특히 갈색 눈 유전자와 삽 모양의 앞니 유전자, 몸 냄새가 적은 유전자, 고혈압에 취약한 유전자,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유전자 등이 확인됐다. 현대 동아시아인과 비슷하다.연구팀은 현재 이 동굴 근처에 사는 울지(Ulchi) 족을 제외하면 현대인 중에서 악마문 동굴인과 가장 유사한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측정한 결과,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얻어낸 낼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저는 멸종취약종이에요. 서식하는 지역이 적고, 그마저도 사람에 의해 파괴된 곳이 많거든요. 여럿이 몰려다니는 습성 때문에 한 서식지가 파괴되면 큰 피해를 입는답니다. 그러니 앞으로 저희를 계속 보려면 서식지를 지켜 ... ...
- [과학뉴스] 콜레라에 취약한 혈액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차이가 있는데, 이를 좌우하는 것 중 하나가 혈액형이랍니다. O형이 콜레라에 가장 취약한데, 이 사실은 1970년대부터 알려져 있었어요. 그 이유가 최근에서야 밝혀졌답니다.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팀은 X선 회절법을 이용해 혈액형 별로 콜레라균과 얼마나 잘 결합하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O형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