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장
추진
조성
장려
권장
증진
진보
d라이브러리
"
촉진
"(으)로 총 1,1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미 알려진 GnC5 단백질과 유사한 형태라는 것이다. 히스톤에 아세틸기가 붙으면 전사가
촉진
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히스톤의 아세틸기가 라이신의 양전하를 중성화해 음전하를 띤 DNA와 히스톤을 분리시키고, 전사에 관여하는 다른 요소들이 DNA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고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봄이 찾아와도 다시 예전처럼 돌아가지 않고 FLC 발현은 낮게 유지된다. 반대로 개화를
촉진
하는 유전자는 낮이 길어지면 조금씩 발현이 늘어나 결국엔 꽃이 핀다.식물 기억의 또 다른 예는 면역이다. 사람의 면역세포는 한번 침입한 병원균을 B세포에 기억해두기 때문에 2차 침입 시에는 맞춤 항체를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CpG 섬 메틸화 비율은 다른 CpG 서열 보다 낮은 편이다. 전사인자 등이 결합해 전사를
촉진
해야 하는 프로모터 특성상 메틸기가 전사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만약 CpG 섬에 메틸화가 일어나면 프로모터가 비활성화 돼 전사가 일어나지 않는다(침묵). 유전체 각인, X염색체비활성화(3파트 참조) 등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준다는 바이오 화장품의 현란한 광고 문구를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세포분열을
촉진
하는 성장인자우선 바이오 화장품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현재 바이오 화장품에 대한 법적 정의는 따로 없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도 바이오 화장품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성 화장품의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위 는 단백질이 정찰병 역할을 했다. 두 가지 모두가 원래 는 DNA와 결합해 전사를
촉진
하는 DNA 결합 단백질 로부터 나왔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덩치가 꽤 커서 연구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열을 자르려면 수천 개의 새로운 인공 유전자로 적절한 단백질을 만들어야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마이크로 로봇에 박테리아를 붙여 동력 문제를 극복했다. 박테리아가 특정 물질(혈관형성
촉진
인자 등)을 쫓아 특정 위치(암세포 등)까지 로봇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역시 뇌의 정확한 부위로 로봇을 조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목표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일어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두 형태소가 확산하는 법칙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작용을
촉진
하거나 억제한다. 따라서 형태소의 분포가 물결 모양으로 나타나면서 다양한 무늬(C)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을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설명했다.튜링의 이 연구는 발표 당시 큰 관심을 얻지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타목시펜을 함께 묶어서 투약한다. 도핑 약을 체내에서 빨리 배출하기 위해 소변을
촉진
하는 이뇨제나 프로베네시드 같은 약을 도핑 약물과 함께 조합한다. 이때 사용되는 물질들을 ‘차폐 물질’이라고 부르며 역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차폐물질만 검출돼도 도핑을 한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면역계를 튼튼하게 만드는 일이다. 즉, 무균쥐에 투여한 바이러스가 인터페론-1의 생성을
촉진
했고 그 결과 면역력까지 튼튼해졌다는 얘기다.사실 이 같은 연구가 처음은 아니다. 최근 타액 속에 존재하는 바이러스가 해로운 세균을 물리친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또 기생벌은 애벌레 몸 속에 알을 ... ...
[Life & Tech] 낮져밤져 남친 혹시 탈모약 때문?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머리카락이 쉽게 빠집니다. 반대로 이 호르몬은 겨드랑이나 다리에서는 발모를
촉진
합니다. 이 현상을 ‘안드로겐 역설’이라고 부릅니다.이제 탈모 환자를 살펴볼까요. 탈모 환자는 머리카락 모낭이 유전적으로 DHT 호르몬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보통사람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양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