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
적축
누적
적립
축재
쌓아올림
쌓기
d라이브러리
"
집적
"(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활성화됐을까? 그 이유로 우선 신경신호 측정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고
집적
다중채널 신경신호 측정기술이 발전해 한번에 100개 이상의 단일신경신호 측정이 가능해졌다.또 컴퓨터의 발달과 신호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측정한 신경신호를 실시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가스터빈(78∼87년), 연료전지(80∼90년) 전지전력저장시스템(80∼90년), 슈퍼히트펌프에너지
집적
시스템(84∼91년)이 주요 기술개발 테마다 이 외에도 MHD(자기유체동력학)발전 등 초전도기술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다 대체에너지개발을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계획과 대조적인 명칭으로 불려져 눈에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작용에 의해 전자 또는 정공의 2종류의 캐리어를 필요로 하는 것을 바이폴라형
집적
회로라 하며, 이것을 줄여서 바이폴라라고 한다 또 데이터 통신과 같이 정보를 부호로 전송하는 경우, 부호형식의 하나인 바이폴라 부호를 생략해서 말할 때도 있다 이에 반해 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를 기준으로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생각되고 있다 유가와가 처음 제안했다미국방성이 중심이 돼 추진하고 있는 초고밀도
집적
회로 목표는 매초 1백20억회의 곱셈 덧셈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회로선폭은 05μ 고온, 방사능 등 전시의 거친 환경에서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소립자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는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라 한다면 RNA는 그것의 '전사·번역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
된 회로 최초의 VLSI는 64KDRAM이다 현재 4M(메가)DRAM까지 개발돼 있다마하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제트엔진으로 터빈이 없다 속도가 빨라 터빈을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 이 압축공기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
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방식 데이터 처리의 한 방식이며 집중 데이터 처리방식의 약칭이다 천공(穿孔) 차드나 종이테이프를 매체로 기록 · 대조 · 계산표 작성 등을 각기 독자적으로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장.•전공: 전자공학박사(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법칙: 1년에 2배씩 반도체
집적
도가 증가.•시기: 2002년 2월 4일(당시 49세).•당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장소: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에서•제목: IT 시대의 반도체메모리(Semiconductor Memories for IT Era).▼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 있는 LCD 수가 많아진다. 웨이퍼가 유리원판이라면 반도체 칩 하나는 LCD다. 반도체의
집적
도가 무어의 법칙을 따랐다면 LCD의 크기는 1년이 1세대로 바뀌었을 뿐 황의 법칙과 비슷한 형태로 발전했다.경희대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장진 교수는 “앞으로 MP3플레이어 화면에도 황의 법칙이 성립할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것. 이에 비해 나노벌집 구멍의 지름은 4~9nm에 불과하다. 여기에 반도체 소자를 넣으면
집적
도를 테라(1012)비트급까지도 높일 수 있다고.나노벌집 구멍의 안쪽 벽은 물을 싫어하는 막대 부분이 붙어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수성이다. 그래서 여러 가지 유기분자가 들어있는 용액에 나노벌집을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제한돼 있는 인간과 자연에 한계를 정해준다.무어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메모리의
집적
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도 기하급수의 법칙이다. 개인용 컴퓨터(PC)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나 인터넷 트래픽은 황의 법칙이라는 말이 나오기 전부터 30년 동안 이미 1년에 2배씩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