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정"(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소중한 우리의 지구를 보호하고 인류에게 더 좋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 내 꿈입니다.” 진정한 우주의 평화를 꿈꾸는 그의 진심이 느껴졌다. 이소연 2008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우주에 다녀온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전 세계적으로는 475번째, 여성으로서는 49번째로 우주에 다녀왔다. KAIST에서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내가 힘들 때 위로의 말을 건네주는 로봇, 내가 기쁠 때 같이 기뻐해 주는 로봇이 진정한 인간의 친구가 될 수 있는 로봇이 아닐까요? 그럼 바로 이런 의문이 듭니다. 로봇이 인간처럼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요? 얼굴 근육 40개로 표정 300여 개 표현로봇이 우리 인간과 감정을 교류한다는 것은 로봇이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실리지 않는 만큼 100% 완력을 이용해 상대방을 제압해야 한다.또 국제우주정거장(ISS)에는 진정제와 항우울제, 신경안정제가 비치돼 있어 이상행동을 보이는 우주인에게는 지침에 따라 이를 투여할 수 있다. 이상행동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모든 우주비행사는 2주에 한 번씩 의무적으로 정신과 ...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고통을 덜어주고 싶다. 그런 의사가 되고 싶다. 과연, 강시영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진정한 의사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9년 7월부터 방영 중인 ‘의사요한’은 차요한이 강시영과 함께 환자의 통증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단순한 의학 드라마는 아니다. 환자들이 느끼는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세계 척추동물 개체수는 60%나 감소했다. 반백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벌어진 일이다. 진정 공룡 멸종에 버금가는 지구의 6번째 ‘대멸종’이 진행되고 있는 걸까. 전 세계 과학자들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존하는 척추동물 7만 종의 ‘생명의 설계도’를 만드는 ‘척추동물 유전체프로젝트 ...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 결과는 붓다의 깨달음과 전혀 다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인공지능이 진정한 해탈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욕망과 번뇌를 가지고 태어나야 하는 셈입니다. 한편, 기독교와 같이 전지전능한 창조주를 섬겨야 하는 종교는 어떨까요? 이때도 인공지능과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OX513A’.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태하고 있다. Oxitec 옥시텍이 개발한 GM 모기 ‘OX513A’ 진정한 의미의 GM 모기는 2002년 루크 알피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개발한 ‘OX513A’가 대표적이다. OX513A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이집트숲모기에 특정 단백질(tTAV)을 만드는 유전자를 삽입한 모기다. 이 단백질은 ...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학 이야기를 나누던 오일러 앞에 맞수가 나타났다. 바로 조선의 수학자 최석정! 누가 진정한 마방진의 고수인지 가리기 위한 대결을 하러 왔단다. 뜬금없이 펼쳐지는 두 수학자의 대결, 과연 최종 승자는 누구일까? 마방진을 푸는 한 방법인 ‘직교라틴방진’을 연구한 두 수학자 최석정과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웬만한 그림보다 더 큰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죠.그러나 인공지능이 만든 작품이 과연 진정한 예술인지는 아직 논란의 대상입니다. 창조적으로 보이는 작품을 만들어 내는 수준에는 이른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에 창작자로서의 의도가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어린아이가 아무렇게나 붓을 휘둘러 ...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밝혔다. 커리가 약 이틀 만에 “발언이 농담이었다”고 한 발 물러서며 사태는 진정됐지만, 달 착륙 음모론이 얼마나 흔히 퍼져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처럼 1969년 달 착륙이 조작됐다는 음모론은 50년 가까이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조작설이 처음 불거진 건 달 착륙 후 얼마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