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서
참고서적
신원
d라이브러리
"
전과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짰습니다. 그런데 화학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이 결국 로켓과도 관련이 있더군요.
전과
는 접어두고 1학년 때부터 활동하던 로켓 동아리 활동에 매진하자는 생각을 했죠. 지금 제 연구 분야인 로켓 엔진이 화학공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결국 잘한 선택이 됐어요.”그가 갔던 러시아는 당시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이에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공대 전공을 살려 취업할 자신이 없어서
전과
까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남자들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 언니를 보고 나도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었습니다.”부경대 시스템경영공학전공 3학년 정상미 씨는 같은 과 4학년 이새미 씨와 튜티-튜터 관계다. 튜터와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교수는 당시 현장 사진을 보고 “방화를 저지르는 데 능숙하지 않고 절도나 가택 침입
전과
가 있으며, 지능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은 이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왜였을까.우선 굳이 이불에 불을 붙이려 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범인은 주방의 가스레인지에서 불을 끌어 와 방화를 하려 ... ...
프랙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4개 생긴다. 3차원 정육면체의 경우에는 똑같은 8개로 분할을 하면, 원래크기의 2인 분할
전과
모양이 같은 도형이 8개가 생긴다. 이런 원리로 프랙탈 차원을 정의할 수 있다. (라) 영국 해안선의 길이는 얼마인가? 해안선의 길이는 측정하는 상황에 따라 크게달라진다. 해안선의 수많은 굴곡, 강,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전위에 비해 2V만큼 높아 전위차가 2V 발생한다. 따라서 점 b와 점 c 사이의 전위차는 닫기
전과
닫은 후 모두 2V다. 5. 다음 표는 물 100g에 대한 여러 가지 고체 물질의 용해도다. 1) 일정량의 물에 녹일 때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는 물질은 어느 것인가? 2) 80℃에서 설탕을 물에 녹여 포화용액을 ... ...
“내 안에 지진해일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쌓이게 된 것이지요.연구팀은 이 모래층의 아래쪽에서 또 다른 모래층을 발견해 550~700년
전과
2500~2800년 전 사이에도 큰 지진해일이 있었다는 걸 알아 냈어요. 과학자들은 이러한 연구가 지진해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새로운 식품 재료라고 한 ❶번 보기는 잘못된 말이네요."보기❷이승원 기자멜라민의
전과
를 조사하다!접시를 만들던 화학물질을 식품에 넣다니! 멜라민을 먹을 것에 넣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분명해요! …그런데, 이건 뭐죠? 헉! 멜라민을 동물이 먹은 적이 있다고요? 이런, 이번이 처음이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발견해 각 층에서 나온 나무 조각의 방사능탄소연대측정을 했다.그 결과 550~700년
전과
2500~2800년 전 사이에도 큰 지진해일이 있었음을 알아냈다.이 모래층은 바다에서 일어난 지진 때문에 생긴 지진해일이 이 지역을 오래전부터 덮쳐왔음을 말해주는 증거인 셈이다.잔카우 박사는 “이 연구 결과가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도서전으로 꾸며졌고, 튼튼존에선 우리 몸과 건강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치과체험
전과
건강식품전이 열렸어.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넘치는 창의존은 디자인 가구가 가득했고, 친구존에서는 심리검사를 통해 친구관계와 자신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단다.마지막으로 탐구존에서는 수학체험전 등을 ... ...
지구과학올림피아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3. 왼쪽 그림은 태풍이 오기 전 수온의 연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름철 태풍이 오기
전과
직후의 해양 표층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면 저위도보다 중위도의 수온이 훨씬 더 많이 떨어진다. 중위도에서 수온 변화가 심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비가 더 많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