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화재를 진압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과가 얼른 만들어라”란 댓글도 있고요. 그런데 말입니다. 정말로 불가능할까요? 인류가 달에 발을 내디딜 때도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하지 않았던가요. 어쩌면 이 영상, 역사를 바꿀 또 하나의 계기가 될지도 모릅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화재를 진압해보겠습니다. 1단 돈이 문제입니다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적다. 우주망원경 100분의 1 비용으로 우주 본다 밤하늘 너머 깜깜한 공간을 향한 인류의 오랜 호기심은 망원경의 역사에 드러난다. 1610년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처음 목성의 위성 네 개를 발견한 후, 400년 동안 천체 관측용 지상 망원경의 지름은 점점 커졌다. 거울이나 ... ...
- [이달의 과학사] 1988년 2월 17일, 세종남극기지 준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접근이 쉽지 않아요. 과학자,탐험대 등을 포함해 약5000여명 의 유동인구만 있을 뿐 인류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않은 지구상의 유일무이한 대륙이에요. 과학자들은 미지의 대륙이라 불리는 광활한 남극이 지구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기 좋은 연구 공간이라고 생각했어요. 오염이 적은 곳인 만큼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로봇의 시초, 움직이는 인형 고래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유영하듯 움직이는 고래 오토마타를 만들 거예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오토마타는 인류 최초의 자동 기계장치예요. 시간이 되면 저절로 소리를 내며 나오는 뻐꾸기시계나 일정한 속도로 물을 흘러내려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가 대표적이죠. 만들어 보자! 크랭크와 캠을 활용해 오토마타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노력을 다음 호에서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2019년이 배경인 영화 ‘아일랜드’ 에서는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들이 격리된 시설에 모여 살아갑니다. 그들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지상 최대의 낙원 ‘아일랜드’에 가는 것을 엄청난 행운으로 여기죠. 하지만 진실은 달랐습니다. 생존자들이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1이라는 아주 간단한 수가 나오기 때문에 언젠가는 A가 B를 따라잡습니다. 이로써 인류는 무한한 덧셈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한한 덧셈이라도 유한한 값으로 수렴하면 그 값을 그대로 이해하고 쓸 수 있으니까요. 이렇듯 수학자는 무한급수를 이용해 무한을 다룹니다. 다른 예시를 하나 더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던데…, 그땐 어떻게 살았을까? 과거에 비해 우리나라의 겨울은 매우 짧아졌다. 인류는 탄소중립을 외치며 온실가스를 줄이며 기후변화를 막으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그 결과, 여름철 폭염이 늘어나 최고기온이 40℃가 넘는 일수가 증가하고 5월부터 시작된 여름이 10월까지 이어져 한 해의 반을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정해지는 역사적 현장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과연 새로운 지질시대인 인류세는 부산에서 그 막을 올릴 수 있을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다려보자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수천 년 동안 계속해서 원주율을 계산해 왔어요. 원주율 계산이 발전해 온 과정을 통해 인류 문명의 진화를 비춰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Q. 원주율은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원주율에 관해 여러 사람과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아요. 공통의 도전 커뮤니티가 ... ...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인류의 과학은 마침내 블랙홀을 사진으로 찍는 데 성공했다. 밀리미터 파장을 가진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여러 대의 전파 망원경을 결합해 블랙홀을 사진으로 포착한 것이다. 인간은 보라색보다 파장이 더 짧은 자외선이나, 빨간색보다 파장이 더 긴 적외선 너머는 맨눈으로 보지 못한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