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숫자 암기 전략이 다른데요. 중요한 건 연속한 3개의 숫자 쌍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냐예요. 외운 숫자의 개수는 13개로 둘이 똑같더라도 연속한 숫자 3개가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하석진 씨는 9개밖에 안 돼요. 근데 궤도 씨는 13개나 나와요. 사실 궤도가 수학적으로 봤을 때 더 유리했다고 할 수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는지 묻기도 하지요. 먼저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활기록부를 몇 번 쭉 훑어보고, 거기서 예상 질문을 뽑았어요. 그다음 아버지와 모의로 면담을 진행해봤어요. 아버지가 질문을 읽어주면 제가 마주보고 앉아서 대답했지요. 실제로 자기소개서에 방정식을 좋아한다는 내용을 썼는데, 소집면담에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해 궁극적으로는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목표예요.”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이 질문은 유전체학이 생물학의 범위 내에서 알아내고자 하는 답에 가깝다. 이 답을 찾을 때까지, 더 정확한 유전체 지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는지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 그중 하나입니다. 효용함수의 특성에 따라 내쉬균형이 아예 없거나, 복수의 내쉬균형이 있습니다. 단일한 내쉬균형이 존재하더라도 현실에 적용하려면 보다 엄밀한 수학적 성능 검증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이번 연구는 분산형 관제라는 새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 ...
- [똥손 수학체험실] 내 돈을 곱해줘! 오늘은 내가 투자 천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돈을 투자한다고? 용돈을 매주 1000원씩 받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용돈을 4주 동안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저금하면 4000원, 10주 동안 모으면 10000원이에요. 일주일에 받는 ... 관리할 수 있도록 은행이나 투자 회사가 만든 여러 가지 방법을 가리켜요.증서★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예요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험성에 대한 판단과 인지능력이 아직 성장하는 단계예요. 이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에서 관찰한 등하굣길의 CCTV 영상을 보면, 어린이와 성인의 보행 경로가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어요. 성인은 횡단보도와 보도 안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비해,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지 할 수 있다. 특히 승패와 선공을 가려야 하는 스포츠에서 예부터 동전 던지기를 활발히 이용해오고 있다. 1968년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와 소련이 전후반은 물론 연장전까지 경기를 했음에도 승부를 가리지 못하자 동전 던지기로 승자를 결정해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로봇을 프로그래밍하는 발명품이 많아 즐거웠다”라며, “내년에 입학 예정인 경기과학고등학교에 가서도 로봇 프로그래밍을 열심히 공부해서 앞으로 사람들의 삶에 도움이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통해 우주선의 자세를 알 수 있다. 기기가 더 정밀해지고 소형화되다 보면 때때로 예상하지 못한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별 추적기는 원래는 위성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됐으나, 영상 센서와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 쓰레기를 탐지할 수 있게 됐다. 카메라의 기본 원리를 이용한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분석을 저렴하고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서 회장에게 유전체학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그는 2003년 4월, 프랜시스 콜린스 당시 미국 국립유전체연구소(NHGRI) 소장이 동료들과 네이처에 쓴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