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명료
혼동
구별할 수 없음
불명확
d라이브러리
"
애매함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905년 특수상대성에 이어 1915년 세상에 태어난 일반상대성은 자체 이론의 탁월성에도 불구, 빛을 보지 못했다. 이를 만들어낸 아인슈타인 조차 우주항이라는 엉뚱한 상수를 집어넣어 그 의미를 퇴색시켰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팽창우주론과 대폭발이론 등 각종 우주론에 적용돼 각광 받고 있는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늘 다수파의 횡포와 편견에 시달려 왔던 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왼손잡이의 실제 모습은?서양에서는 모나리자를 그린 화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왼손잡이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H.W. 잰슨 같은 예술사가는 다 빈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비성은 그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실현하는 것은 컴퓨터 기술의 최종 목표. 그 방법의 하나로 인간의 판단과 같이
애매함
을 처리하는 퍼지이론과 뇌의 신경세포(뉴런)의 움직임을 모방한 뉴런기술을 결합시키는 연구는 폭 넓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야마카와 교수는 신경세포 모델의 데이터처리에 퍼지이론을 채택했다. '중간 ... ...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올해안에 천문대를 완공해 많은 사람들과 하늘의 정서를 나눌 예정이다. 별보는 사람들은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다. 연구원 의사 직장인 공무원 변호사 교사 등등. 그래서 이들을 프로페셔널이라 하지 않고 아마추어천문가라 부른다. 그렇지만 이들은 본업 못지않게 많은 시간과 정력을 별 보는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일본에서 시작된 '퍼지열풍'은 지난해 우리나라에도 상륙해 세탁기에 퍼지이론을 적용했느냐를 놓고 한바탕 논쟁이 벌어졌는데…요즘 여러 방송매체를 통해 세탁기 등 가전제품 광고에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좀 더 주의깊은 사람이라면 '퍼지'(fuzzy)라는 용어도 들었을 것이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를 표현한다고 생각해 보자. 여기서 '3'은 3에 완전히 가까운 수(바로 자신이므로)이므로
애매함
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2'나 '4'는 3에 가깝기는 하지만 '3'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1'이나 '5'는 '2'나 '4'에 비해 더 그렇다. 따라서 각 수에 대해 그 적합성을 따져보면 (그림)처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요즘 가장 잘 팔리는 비디오의 리모콘 버튼수는 보통 40~50개. 그러나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십여가지 이상되는 서비스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디오 기능 중 어느 정도를 활용하고 계십니까"라고 물으면 "글쎄요. 아마 반정도도 쓰고 있지 못 할걸요"라고 대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목성과 토성 사이에 존재하는 소행성 집단. 10만개로 추정되는 이 미숙아들은 어떻게 생성됐으며 지구의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를 벗어나면 우주속에는 미지의 천체들이 그득하다. 그러나 그 중 태양계 내에서 지구를 제외한 8개의 행성들은 그런대로 그 비밀이 한꺼 ... ...
정밀검사로 능력 평가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명확한 구분기준을 세울 수 없다는 것이 안과전문의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런
애매함
은 색각이상을 검사하는 기구에 따라 동일인물의 측정결과도 다르게 나타난다는 데서 잘 드러난다.색각이상의 정도판정 애매해현재 색맹검사기구로 일반인들에 가장 익숙한 것은 그림책 모양의 가성동색표 ... ...
애매함
을 컴퓨터로 표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인간이 흔히 쓰는 표현의 대부분은 숫자로 나타내기 어렵다. '0'과 '1'만 인식하는 컴퓨터는 이런 애매한 표현들을 어떻게 인식할까?"사과 두개 사오너라". 엄마가 이런 심부름을 시키셨다고 해 보자. 우리는 정확히 사과 두개를 사면 될 것이다. 그러나 "사과 두어개 사오너라"고 한다면 우리는 사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