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케팅리서치
d라이브러리
"
시장조사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공학계열 학과 중에서 산업공학과의 선호도는 꽤 높은 편이다. 산업공학은 특정기술에 집중하기보다 산업과 기술, 그리고 사회 전반까지 여러 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활용 범위가 넓다. 학문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는 성격은 요즘의 트렌드에도 잘 맞는다.하지만 공학인지, 사회학인지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물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LCD 패널은 폐기되는 양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과학기술계는 전망한다. 지난 6월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올해 전 세계 LCD TV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21%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연구팀의 제임스 클락 교수는 “LCD 패널의 많은 부분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것이 중요하다”며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 |한무영 지음 | 그물코|161쪽 | 1만 원 최근 물에 대한 논란이 많다. 우리나라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목적도 부족한 물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슬그머니 바뀌고 있다. 물에 관한 국민들의 생각도 극명히 갈린다. 일부는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17세기 초반, 유럽의 경제대국이던 네덜란드에 광기 어린 투기 열풍이 불어 닥친다. 투기 대상은 바로 튤립. 수많은 네덜란드인들이 중앙 아시아의 파미르 고원에서 자라다 16세기 후반 유럽에 전해진 이 동양의 꽃에 혼을 빼앗겼다. 귀한 튤립 한 뿌리의 가격은 당시 노동자 한 해 임금의 20배에 이를 ... ...
이공계열 졸업 후, 법학 관련 분야에 진출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Q 법에 관심 있는 이공계열 학생입니다. 이공계열 전공을 살려 법과 관련한 직업을 얻고 싶은데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이공계열 전공을 살려 진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법조계 직업에 변리사가 있습니다. 변리사는 기업에서 개발한 기술을 다른 기업에서 도용하지 못하도록 법률상담을 해주는 직업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기린이 기다란 혀를 ‘날름날름’ 내밀어 6m 높이에 매달린 그물 속에서 잎사귀를 꺼내먹는다. 서울대공원측이 동물의 야생본능을 깨우기 위해 도입한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이하 풍부화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그런데 작은 그물코 사이로 혀를 넣어 잎사귀를 꺼내먹는 일이 생각만큼 쉽지 않 ... ...
인쇄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이 인쇄전자공학 관련 기술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인 나노마켓에 따르면 인쇄전자소자의 시장 규모가 2011년에 약 160억 달러에 이르며 인쇄전자공학 연구기관인 IDTechEx은 2015년 300억 달러 규모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RFID 태그 개발에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김평원 교사는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며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논술교육길라잡이’집필진에 참여하고 있다. 안재익 교사는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마포고에서 공통과학과 물리 과목을 지도하고 있으며 통합교과 과학논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특허제도는 기술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1900년대 초 일본 도쿄제국대 화학과 이케다 기쿠나에 교수는 다시마를 넣고 끓인 맛국물(‘다시(だし)국물’이라는 일본식 용어의 순화어)의 독특한 맛의 비밀을 찾고 있었다. 이케다 교수는 4가지 기본맛, 즉 신맛, 짠맛, 단맛, 쓴맛을 내는 재료를 어떻게 조합해도 맛국물 특유의 맛을 만들 수 없 ... ...
해양생물도 맞춤형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구에 서식하는 생물 중 80%가 바다에 살고 있다. 그만큼 바다는 차세대 생물자원의 ‘보물창고’다. 그러나 아직 해양생물 관리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원연구본부 이윤호 박사는 “바다의 유해생물과 유용생물을 분리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독성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