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물체에 레이저를 쏴 충전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무인기에 충전판(레이저
셀
)을 두고 레이저를 쏘면 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면서 동력을 낸다. 이론적으로는 24시간 내내 무인기를 띄워놓을 수 있는 셈이다. 현재 기술로 고도 1km지점까지 레이저를 쏴 충전할 수 있다. 고출력 레이저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가짜 향기’로부터 얻는 이점은 또 있다. 바로 안전성이다. 최 대표는 “천연 향료는
셀
수 없이 많은 성분으로 이뤄진 복합체이므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발암 위험이 높은 성분, 신경 마비 물질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이에 비해 합성 향료는 제조 과정에서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여전히 실수만큼 많은 원소를 갖고 있고, 원소가 제 아무리 띄엄띄엄 있다고 해도 결국
셀
수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오로라는 지구에 비해 강도가 훨씬 세다. 지구에서 오로라가 생성되는 원리는 세기가
셀
때와 약할 때가 각각 다른데, 천문학자들은 목성의 오로라가 생성되는 원리가 지구에 강력한 오로라가 생길 때와 같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강한 오로라는 빠르게 가속된 전자들이 대기와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정체를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손님으로 온다고 생각해 보자. 자연수는 자기 자신이 적힌 순서표를 받으면 되므로
셀
수 있는 손님이다. 유리수는 1/2, 3/4와 같은 분수도 포함하고 있어서 자연수보다 그 개수가 많아 보인다. 0과 1 사이에 있는 유리수만 해도 무한히 많다. 하지만 유리수를 세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유리수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일본 교토대 교수가 이런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논문을 생명과학 학술지 ‘
셀
’에 발표합니다(doi:10.1016/j.cell.2006.07.024). 이미 분화한 세포를 역분화 방법을 통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발달 잠재력을 가진 세포로 만드는 논문이었습니다. 당시 대학생이었던 저도 ‘아, 이런 방법이 있을 수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골격근의 성체 근육 줄기세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2016년 8월 2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골격근의 성체 근육 줄기세포가 형성되는 데에는 ‘위성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56쪽 사진). 위성세포는 분화능을 가진 근육 줄기세포로 골격근을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따라 어택신-2의 역할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해 ‘
셀
’의 자매지인 ‘몰레큘러
셀
’에 발표했다. 임 교수는 “이런 특성이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Unique Tip 진학 생명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과서나 책에 얽매이기 보다는 ... ...
[과학뉴스] 50초 만에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수 있는 구멍(공극)을 크게 만들어 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었다.드렉
셀
대 드렉
셀
나노재료연구소 마리아 루카츠카야 박사는 “여러 차선을 가진 고속도로와 같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 에너지’ 7월 10일자에 발표됐다.doi:10.1038/nenergy.2017.10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