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호관계"(으)로 총 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캐나다 수학자 크리스티안 루소입니다. 지금 세계 곳곳은 질병과 재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어요. 신종 인플루엔자 같은 전염병은 물론,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 등 갖가지 문제가 지구를 위협하고 있답니다. 이처럼 위기에 처한 지구를 보면서 저를 비롯한 수학자들도 힘을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이 변수는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 결과다. 성공과 관련한 실험 가운데 가장 많이 이야기되는 연구다. 1970년대 초에 첫 번째 결과가 발표됐으니, 40여 년 동안 세월의 검증도 받았다.이 연구는 비슷한 여러 실험으로 구성돼 있다. 1968년부터 1974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실시됐고, 참가한 어린이의 수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꺅! 우리 집이 날아간다!”어느 평화로운 날, 갑자기 불어 닥친 토네이도에 휘말린 도로시는 집과 함께 날아가 버렸다. 한참 뒤, 낯선 곳에서 정신을 차린 도로시는 머리 끝까지 화가 났다.“대체 이 토네이도는 누가 만든 거야?”도로시의 소리를 듣고, 지나가던 허수아비가 말을 건넸다.“너도 ...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자폐증은 3세 이전부터 증세가 나타난다. 어머니와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 표정 변화에 반응이 없고 언어 발달이 더디며 놀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자폐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하지만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고 모두 자폐증은 아니다. 자폐증에는 3가지 주요 증세가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 말하는 대로 금은보화가 쏟아지는 도깨비 방망이~!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엥, 뭐야?! 방망이를 잘못 두드린 건가? 동생은 보물이 나오는데, 왜 난 요상한 동그라미 모양의 판만 나오는 거야?아이고, 무식하기 짝이 없구먼. CD 안에 얼마나 많은 보물이 숨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이야기 속의 기사는 다섯째 날의 대화에서 8배 멀리 떨어진 등불이 64분의 1로 어두워지는 것이 만유인력(dall’attrazione universale)이 거리의 제곱에 비례해서 약해지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아마도 알가로티는 여성 독자를 위해서는 암울함, 심각함의 뜻도 갖고 있는 중력(gravitatis)보다는 사랑, 매력 ... ...
- [수학뉴스] 발가락 형성 원리까지 설명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수학자 알란 튜링의 마지막 연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튜링은 죽기 전인 1952년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화학물질이 어떻게 얼룩말 같은 간섭 무늬를 만드는지 파동함수를 이용해 설명했다. 이를 ‘튜링 모델’이라고 한다. 그가 죽은 뒤에도 이 모델은 많은 이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무대엔 점조명이 비추고 있고 발레리나가 우아한 춤사위를 선보이고 있다.그런데 관객은 아무래도 기분이 이상하다.혼자 춤을 추기엔 무대가 너무 넓다.게다가 발레리나도 누군가와 함께 춤을 추고 있는 듯 자꾸만 어둠 속으로 손을 건넨다.2막이 시작했다.그제야 어둠에 익은 눈에 어둠 속의 댄서 ...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멸종위기 동물을 자연에 많이 방사하기만 하면 순조롭게 개체수를 늘리며 살아갈 수 있을까. 혈연관계가 가까운 종들만 방사한다면 이들끼리 야생에서 교배해 번식하게 된다. 이것이 근친번식이다. 근친번식만으로 개체수가 늘어나면 비슷한 유전자를 지닌 개체만 태어난다. 이들은 동일한 질병이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찬드라-X 망원경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찍은 ‘총알 모양 은하단’. 모두 합성한 그림 (➊), 가시광선(➋), 가시광선과 중력렌즈(➌), 가시광선과 X선(➍), 중력렌즈와 X선(➎). ➏은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에 질량 밀도를 표시한 그림. 역시 두 개의 중력원이 나타난다.]유럽 입자물리연구소(CERN)가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