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건축이 예술이 되는 순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람이 지어 올린 건축물이 예술 작품으로 승화됐다. 쉽게 포착하기 어려운 구도로 사진 속에 담긴 건축물은 이질적인 동시에 상상력을 자극한다. IPA(International Photography Awards)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사진전이다. IPA가 10월 발표한 건축 부문 우승작의 일부를 소개한다.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AI), 초고속카메라 등을 이용해 대소변을 분석한다. 박 교수는 인터넷에 공개된 대변 사진 3000여 장을 분류해 AI에 학습시켰다. 이를 통해 AI가 사용자의 대변 형태, 크기, 색깔을 보고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게 했다. 소변이 변기에 떨어지는 속도와 양은 1초에 240장을 찍는 고속카메라가 포착한다. ... ...
- [찰칵! 전시회] 둘, 넷, 여덟…. 순식간에 늘어나는 토끼가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토롱이예요. 제 옆의 친구는 저와 쌍둥이인 토랑이지요. 우리 가족을 한 달에 한 번씩 소개해 드릴게요. 대신, 눈을 크게 뜨세요. 우리 가족은 매달 두 배씩, 아주 빠르게 늘어나거든요! 토끼 가족이 두 배가 됐어요! 한 달이 지나 둘째 달이 되자, 우리의 동생들이 태어났어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삑’. 마트에서 물건을 사고, 물건에 그려진 ‘바코드’를 기계에 찍으니까 물건의 이름과 가격이 곧바로 창에 나타나는 게 정말 신기해 보였어요. 바코드는 검은색 막대기와 그 아래에 작게 적힌 숫자 여러 개만으로 이뤄져 있는데, 어떻게 물건의 정보를 담을 수 있나요? 바코드 속 긴 막대의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황유동 연구소장은 “카메라가 1초에 30장씩 사진을 찍어 분석기에 보내면, 분석기는 사진들을 비교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를 통해 어린이보호구역 등에서 차량이 과속을 하는지,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는지, 자동차가 불법 주차를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류를 위해 지구에 저궤도 위성인 스타링크를 띄우는 일론 머스크. 그런데 늘어나는 스타링크 때문에 지구의 전파 강도가 세져 외계 문명에 발각될 수도 있대! 과연 무슨 이유일까? 진도 12.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일어날 피해와 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한 특급(?) 비밀을 알려주는 영상도 함께 준비 ... ...
- [제페토 메타버스 여행법] 아이템 크리에이터의 노하우를 배워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오하~! 크리에이터 아이템 ‘인기’ 카테고리에 올라가는 아이템은 과연 어떤 사람들이 만드는 것일까요? 이번 시간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연예인, 바둑기사, 변호사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12명이 모여 상금을 걸고 게임을 펼치는 서바이벌 예능 ‘데블스 플랜’은 최근 시즌2 제작을 확정하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수학과 퍼즐을 좋아하는 시청자들이 유독 데블스 플랜에서 집중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스릴 넘치는 각종 게임이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왔다. 증명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기 때문이다.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 증명에 관한 논의가 꼭 필요한 이유다. 오늘은 증명의 쓰임과 역사를 통해 그 역할과 중요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첫 번째 질문 |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뒤로 보이는 벽에 걸린 ‘이그노벨’ 현수막. 이그노벨상의 창시자, 마크 에이브러햄스(사진)를 드디어 만났다. 1991년부터 올해까지 햇수로 33년째. 이그노벨상이 이렇게 계속될 줄 알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놀랍다는 듯 고개를 흔들었다. “첫해 시상식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입소문을 탄 덕에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