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d라이브러리
"
비정상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선진국의 아이들 가운데는 몸이 미생물이나 기생충에 충분히 노출되지 못해 면역계가
비정상
적으로 발달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질환에 면역계 발달에 관여하는 장내미생물 조합인 IRT5를 투입해 면역계를 재교육시켜 증상을 완화한다는 임 교수팀의 연구는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짧은 타입은 피부에서만 발현된다.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사람은 전사체가
비정상
적으로 가공되고 그 양도 적다. 이 유전자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이 유전자가 피부 세포가 접히는 배열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지금까지 두 사람의 지문이 동일한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환자와 유전적으로 같은 배아줄기세포를 만들고 유전자 적중 기술로 배아줄기세포의
비정상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바꾼다. 하나의 배아줄기세포에서만 유전자 적중이 성공해도 증식을 통해 많은 수의 배아줄기세포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을 환자의 이자에 이식해 정상적인 β세포로 분화시켜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일으키는 ‘만성독성’ 물질을 검출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거든. 정상적인 행동과,
비정상
적인 행동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지. 보기보다 똑똑한 송사리, 그리고 좌표평면반복 실험을할 때 송사리의 기억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신기했다. 송사리의 기억력은 일주일 정도다. 그런데 일주일 ...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개발된 치료제 ‘슈펙트캡슐’은 이 돌연변이 유전자를 무력하게 만들어 백혈구가
비정상
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슈펙트캡슐은 국내에서는 18번째 신약이다. 일양약품이 2001년부터 연구해 10여 년 만에 신약허가를 받았다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12월 프랑스 정부는 PIP사의 불량 보형물을 제거할 것을 권고했다. 보형물이 가슴 안에서
비정상
적으로 파열되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보건당국이 발표한 PIP사 불량 보형물의 파열률은 5%다. 일반적인 가슴 성형 보형물의 파열률은 이보다 낮은 1~2%다. 가슴 속 보형물이 언제 터질지 ... ...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예를 들어 암은
비정상
적인 세포 분열과 연관이 있으며 아이들의 일부 정신지체 증상도
비정상
적인 세포 분열이 원인이다. 중심체는 이런 질환의 유전학적 치료 수단으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중심체에 또다른 기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심각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행기 조종사가 착륙할 때 계기판의
비정상
적인 지표를 해석하느라 바퀴 내리는 것을 잊는 바람에 더 큰 사고를 낸다. 기능적 고착은 상황이나 물건의 사용법을 유연하게 해석하지 못하는 것이다. 편지봉투를 뜯을 때 앞에 있는 빗으로 할 수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유방암 중에서도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의 90%가
비정상
MUC1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효과가 클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삼중음성유방암이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는 유방암이다. 연구팀은 2013년에는 1차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사용했다. 이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 쥐의 각막에는 혈관이
비정상
적으로 발달해 더 이상 앞을 볼 수가 없었다. 큠 교수는 FoxC1 유전자가 쥐 각막 내 혈관 발달을 막는 ‘수비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FoxC1 유전자는 쥐 뿐만 아니라 사람의 각막 내 혈관 형성 역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